통일 40주년, 베트남의 변신
1975년 4월 30일 오전 11시 30분쯤 T34 전차는 베트남 사이공(현 호찌민시) 대통령궁 철문을 냅다 들이받은 뒤 그대로 집무실쪽으로 밀고 들어갔다. 항복선언이 라디오에서 흘러나오기 시작한 게 이미 한 시간 전이었다. 그럼에도 탱크가 철문을 깔아뭉개고 진입한 것은 승전을 통보하는 행위였다. 15년간 미국과의 전쟁, 길게 보면 1858년 프랑스의 식민점령 이후 117년간의 전쟁 기간동안 끊이지 않던 포성이 마침내 멈춘 것이다.베트남전 종전 40주년을 맞은 30일 호찌민시에서 학생들이 국민 영웅 호찌민의 대형 초상화와 함께 거리를 행진하고 있다.
호치민 AP 연합뉴스
호치민 AP 연합뉴스
전후 40년 베트남은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했다. 1986년 개혁개방정책인 ‘도이 머이’를 내걸면서 1990년대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7.5%에 이르렀다. 지난해 성장률도 6.0%로 웬만한 개발도상국을 능가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과거 한국, 중국, 대만을 일으켜 세웠던 유교적 자본주의의 마지막 바통을 넘겨받은 주자가 바로 베트남”이라 치켜세웠다.
고성장의 첫 발판은 역설적이게도 보트피플의 후예였다. 해외 큰 손들이 나서서 공장을 지었다. 대표적 인물이 헨리 응우엔(41)이다. 보트피플의 아들로 미국 벤처캐피털에서 근무했던 그는 베트남에서 수십 건의 합작사업을 성사시켰다. 가장 성공적인 합작사업은 베트남공산당 총리 딸과의 결혼이다. 공산당을 피해 달아난 보트피플의 아들이 공산당 핵심 간부의 딸과 가정을 꾸릴 정도로 경계가 옅어진 것이다.
전쟁 당시 32만명을 파병했던 한국과도 긴밀한 관계다. 한국기업들은 지난해 73억 2000만 달러를 베트남에 투자, 최대 해외투자국이 됐다. 박닌성과 타잉응웬성에 있는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생산기지는 삼성전자 수출물량의 40%를 만들어낸다. 이 때문에 지금 호찌민의 젊은이들은 다른 나라 젊은이들과 다를 바 없다. 스타벅스 최고경영자(CEO) 하워드 슐츠의 책을 읽으며 커피 체인점 사장을 꿈꾸고, 디지털 마케팅 회사를 차린 뒤 일본 전자회사와의 합병을 추진하기도 한다.
하지만 전쟁의 상처는 여전히 묻혀 있다. 기자이자 작가인 후이 둑은 “아직도 북쪽 사람은 제국주의에 맞선 해방전쟁이라 생각하고 남쪽 사람은 북측에 공격당한 내전이라는 인식이 있다”며 “통일된 뒤 북베트남은 여전히 전쟁 중인 것처럼 굴었기 때문에 그로 인한 많은 상처들이 있다”고 전했다. 재교육수용소를 만들어 수많은 이들을 가혹하게 탄압했다. 물론 베트남 당국은 이런 얘기를 껄끄러워 한다. 그러나 후이 둑은 “과거 문제를 직시하지 않고 덮어 두기만 하면 미래에 큰 상처가 될 것”이라 말했다.
조태성 기자 cho1904@seoul.co.kr
2015-05-01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