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 아시아 유물·작품 디지털화…겸재 작품은 ‘모조’
미국 워싱턴DC의 스미스소니언 프리어·새클러 갤러리가 일반에 거의 공개되지 않았던 아시아 유물 및 작품 4만여 점을 발굴해 홈페이지(open.asia.si.edu.)에 5일(현지시간) 공개했다.스미스소니언박물관이 공개한 고려불화
미국 스미스소니언박물관이 6일 고화질로 공개하기 시작한 프리어갤러리 한국문화재 소장품 중 고려불화. 중앙 뒤쪽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그 전면 양쪽에 각종 보살이 위치한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스미스소니언박물관이 공개한 고려불화
미국 스미스소니언박물관이 6일 고화질로 공개하기 시작한 프리어갤러리 한국문화재 소장품 중 고려불화 수월관음도.
연합뉴스
연합뉴스
이 가운데 각종 수묵화와 고려청자, 조선 불화, 병풍 등 한국 작품도 781점이 포함됐다.
대부분 소장품 기부를 통해 미술관 설립에 일조한 디트로이트 출신의 철도차량 제작업자 찰스 랭 프리어와 정신과 의사이자 자선사업가인 아서 미첼 새클러가 기증한 것이다.
겸재 정선의 작품도 한 화첩에서 나온 것으로 보이는 5점 소개돼 있으나 설명서에는 진품이 아닌 ‘모조품’(forgery)으로 표기돼 있다.
한국대사관 한국문화원 측은 전문 큐레이터 등을 통해 새로 공개된 한국 미술품의 문화적·예술사적 가치 등을 살펴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물관 창고에 처박혀 먼지를 뒤집어쓰고 있던 이들 작품의 일반 공개가 가능한 것은 대규모 디지털화 작업 덕분이다.
스미스소니언 줄리안 레이비 박물관장은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에 이를 “예술 민주화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5월에는 뉴욕의 자연사박물관과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이 빈센트 반 고흐, 클로드 모네 등의 작품을 포함한 40만여 점의 소장품을 비영리 목적으로 대거 디지털화해 무료로 공개하기도 했다.
예술 작품의 디지털화는 분류, 사진 촬영, 색 보정, 데이터베이스화, 작품 설명 부착 등의 어렵고 조심스러운 과정을 거쳐야 한다.
프리어·새클러 갤러리도 전문가 54명이 동원돼 총 1만 시간 이상을 투자한 끝에 ‘디지털 컬렉션’을 완성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