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두, 한푸·파오차이 언급
편파 판정 커지는 반중 정서
지난 4일 중국 베이징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동계올림픽 개회식에서 조선족으로 분한 공연자가 한복 차림으로 손을 흔들고 있다. 중국은 조선족을 비롯해 56개 소수민족이 오성홍기를 전달하는 모습을 연출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9일 “베이징올림픽 개막식에서 한복을 입은 여성이 중국 국기 전달을 도운 뒤 논란이 있었고, 한국 대선 주자들도 가세했다”고 조명했다.
중국의 56개 민족을 대표하는 참가자들은 베이징 올림픽 개막식에서 중국 국기인 오성홍기를 함께 옮겼고, 그 중 조선족을 대표해 나온 여성은 흰색 저고리와 분홍색 치마를 입고 등장했다. 이를 본 한국인들은 ‘동북공정’에 빗대 ‘한복공정’이라고 강하게 반발했고, 대선주자들이 가세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축제의 시간을 문화공정의 시간으로 삼지 않는가 하는 일각의 우려를 중국 정부는 답해야 한다”고 했고,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는 “고구려와 발해는 대한민국의 자랑스럽고 찬란한 역사”라고 말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는 “한복은 대한민국의 문화다. 중국 당국에 말한다. 한푸가 아니라 한복이다”라고 강조했다.
크리스토퍼 델 코르소(왼쪽) 주한 미국대사 대리 트위터 캡처, 연합뉴스.
SCMP는 지난해 김치에 이어 올해는 한복으로 한국과 중국이 충돌하고 있다고 전했다. 매체는 “한복 논쟁은 지난해 ‘김치 논란’에 이은 갈등이다. 중국이 쓰촨성 채소 절임인 파오차이에 대해 국제표준화기구로부터 인증을 받았고, 한국에서는 중국이 김치를 자기들 것으로 주장하려 한다며 분노를 표출했다. 중국에서는 김치도 파오차이로 알려졌다”고 말했다.
실제 당시 중국 관영매체 환구시보는 “중국의 김치산업은 이번 인가로 국제 김치 시장에서 기준이 됐다. 우리의 김치 국제 표준은 세계의 인정을 받고 있다”고 주장해 공분을 샀다.
매체는 한국인들이 소셜 미디어를 통해 ‘중국이 김치를 포함해 한국 문화를 가져가려 하고 있다’라며 분노하고 있다고 전하면서 중국 내 분위기를 알 수 있는 웨이보 글을 소개했다. 이 중국인은 “중국에는 한국 소수 민족 170만명이 있고, 그들이 전통 의상을 입는 것은 좋은 일인데 왜 불평하나?”라고 적었고, 자국 내에서 높은 공감을 받았다.
한복을 ‘중국 문화’라고 했다가 한국 유저들이 항의하자 ‘한국 문화’로 고친 中게임. 사진=서경덕 교수 제공
중국의 파오차이 관련 ISO 인증문구 발췌문. 김치는 해당하지 않는다는 문구가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제공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10일 “한국인들이 분노한 이유는 개막식 한복 때문만이 아니다”라며 주한 중국 대사관이 큰 착각을 하는 것 같다고 일침을 가했다.
서경덕 교수에 따르면 중국 최대 포털 사이트인 바이두 백과사전은 ‘한복(韓服)은 중국의 전통 의복 ‘한푸’(漢服)에서 기원했다’고 왜곡하고 있고, 중국을 대표하는 전자제품 기업인 샤오미 스마트폰 배경 화면 스토어에는 한복을 ‘중국 문화’(China Culture)로 소개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중국 게임업체 페이퍼게임즈가 한복을 콘셉트로 한 모바일 게임 ‘샤이닝 니키’를 출시했고, 중국 유저들이 “한복이 조선족의 고유 의상이며 중국의 옷임을 명확히 해달라”고 주장하는 일도 있었다고 말했다.
서경덕 교수는 이런 사례들이 바로 ‘한복 공정’이라며 “지금까지 너무 많은 한복 공정을 펼쳐왔기 때문에 한국인들이 크게 분노하는 것이고, 이 점을 주한 중국 대사관 측이 절대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라며 바이두의 왜곡 내용을 수정할 것을 제안했다.
2020년 12월 김치 논란 당시 “김치 종주국인 한국에서 생활할 수 있어 행복합니다”라고 트윗을 올린 해리 해리스 당시 미국 대사. 해리 해리스 미국 대사 트위터 캡처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