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의 비옥한 초승달 지대였던 시리아 5년 전 최악 가뭄뒤 황폐화… 내전 촉발
오는 25~28일 열리는 유엔총회에서 기후변화와 더불어 난민 위기가 집중적으로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유럽이 겪는 난민 사태를 논의할 때 전쟁 등 폭력행위뿐 아니라 기후변화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학자들의 경고를 국제사회가 뒤늦게 받아들인 셈이다. 2차 대전 이후 최악이라는 난민 사태의 직접적인 원인은 2011년 촉발된 시리아 내전이지만 더 근본에는 기후변화가 자리한다는 주장이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미국 컬럼비아 대학의 리처드 시거 교수는 지난 3월 발표한 ‘비옥한 초승달 지대의 기후변화와 시리아 최근 가뭄의 시사점’이라는 논문에서 난민 사태의 원흉이 기후변화라고 결론을 내렸다. 농경과 인류문명의 주요 발상지로서 시리아가 속한 ‘비옥한 초승달 지대’는 에덴동산이 있던 곳이라는 전설이 있을 정도로 풍요로운 곳이었으나, 2007~2010년 닥친 사상 최악의 가뭄으로 불모지가 됐다. 농민들이 삶의 터전을 버리고 도시로 대거 몰려들었으며, 시리아 국민의 40%가량인 760만명이 고향을 잃은 것으로 추정된다. 그는 “시리아에서 가뭄이 정치 불안의 촉매로 작용했다”며 “인간이 기후 체계를 교란한 게 내전의 가능성을 2∼3배 이상 높인 것으로 관측된다”고 지적했다.
영국 옥스퍼드대 노먼 마이어스 교수는 10년 전 ‘환경난민’의 심각성을 경고했다. 그에 따르면 환경 난민은 가뭄 등 환경적 요인이나 이에 파생되는 인구폭발, 내전 등으로 실향한 이들을 말한다. 그는 ‘환경 난민은 시급한 안보문제’라는 2005년 5월 논문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난민이 2억명에 달할 것”이라며 “이 시대 인류의 가장 큰 문제로 떠오를 것”이라고 주장했다.
마이어스 교수는 “난민은 환경 때문에 발생하지만 수많은 정치, 사회, 경제적 문제를 부를 수 있다”며 “바로 소요나 갈등의 원인이 될 수 있고 내전, 폭력 사태로 이어질 수도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오는 12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에서는 ‘환경난민의 시대’에 어떻게 대처할지가 주요 의제로 등장할 예정이다.
한편 유럽연합(EU)의 난민 대책이 이번 주 고비를 맞는다. 난민 수용 방안을 둘러싸고 유럽 각국이 갈등을 빚고 있는 가운데 22일 EU 내무장관 회의, 23일 EU 정상회의가 잇따라 열린다. 이런 가운데 미국은 내년 난민 수용 규모를 8만 5000명까지 늘리겠다고 밝혔다. 독일을 방문 중인 존 케리 미 국무부 장관은 “2017년 (난민 수용 규모로) 10만명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박상숙 기자 alex@seoul.co.kr
2015-09-22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