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유엔안보리 對시리아 제재 결의 초안 반대

러, 유엔안보리 對시리아 제재 결의 초안 반대

입력 2014-02-08 00:00
업데이트 2014-02-08 2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호주.룩셈부르크.요르단 “민간인 공격.원조 방해시 무력 제재”

시리아에서 민간인에 대한 무차별 공격이나 인도주의적 원조 방해를 제재하려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시도가 러시아의 반대로 또다시 무산됐다.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인 호주, 룩셈부르크, 요르단은 6일(현지시간) 시리아 내전 당사자들이 민간인을 무차별적으로 공격하거나 인도주의적 원조를 방해하면 책임자를 국제형사재판소(ICC)에 회부하고 유엔헌장 7장의 무력 제재까지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결의안 초안을 작성해 미국, 러시아 등 5개 상임이사국에 회람했다.

초안은 모든 분쟁 당사자를 칭하고 있지만, 시리아 정부군이 사용하는 ‘통폭탄’(barrel bombs)이나 스커드 미사일 등을 언급한 것을 고려하면 사실상 정부 측을 겨냥한 것으로 풀이됐다.

이에 대해 알렉세이 자이체프 유엔주재 러시아 대표부 대변인은 이메일에서 “이 초안은 실행 불가능하다”며 반대 의견을 분명히 밝혔다.

한편, 7일 시리아 정부군에 포위된 반군 거점도시 홈스에서는 유엔과 정부군의 합의에 따라 민간인 83명이 대피했다.

이와 관련해 겐나디 가틸로프 러시아 외무차관은 “시리아의 인도주의적 문제가 유엔 안보리의 정치적 결의 채택이 아닌 구체적 조치들로 풀릴 수 있음을 보여준다”는 글을 자신의 트위터에 올렸다.

시리아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을 지지하는 러시아는 앞서 영국과 미국이 유엔 안보리에 제출한 시리아 정부군의 공습을 비난하는 성명 등도 채택을 무산시켰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