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 속의 선거철은 언제나 시끄럽고 혼란스러웠다. 골목골목을 누비는 선거운동원이나 귀를 따갑게 하는 확성기 소리, 줄을 잇는 흥청망청 관광 행렬 등등. 그 당시 가장 흔하게 듣던 단어 중 하나가 ‘선거특수’. 선거 관련 각종 모임이 늘어나고 은밀히 전달되는 선물 등으로 소비가 활성화되고 사회 분위기는 한껏 들뜨게 마련이다. 막걸리와 고무신이 부정·혼탁 선거의 대명사로 꼽혔던 기억이 생생하다.
며칠 후면 지역 대표를 뽑는 선거일인데 요즘 거리 분위기는 이상하리만큼 차분하다. 확성기를 통한 출마자의 유세, 선거운동원들의 외침뿐 아니라 선거 관련 홍보물조차 별로 보이지 않는다. 선거특수라는 말은 아예 들리지도 않는다. 잊힌 단어가 됐다. 코로나19 때문이라고 하지만 여느 선거 때와는 다른 분위기다. 민주주의의 꽃이라는 선거 문화가 정말 제대로 자리를 잡은 것일까.
아쉽게도 선거판에 남아 있는 몇 가지 현상들은 그런 기대감을 저버린다. 출마자들의 막말, 상대 후보 비방, 아니면 말고 식의 선심성 공약 등등. 개중에 복지라는 이름으로 포장된 포퓰리즘은 신종 바이러스처럼 변화된 모습으로 확산 중이다. 막걸리와 고무신이 50만원, 100만원 등으로 변화된 듯하다.
yidonggu@seoul.co.kr
며칠 후면 지역 대표를 뽑는 선거일인데 요즘 거리 분위기는 이상하리만큼 차분하다. 확성기를 통한 출마자의 유세, 선거운동원들의 외침뿐 아니라 선거 관련 홍보물조차 별로 보이지 않는다. 선거특수라는 말은 아예 들리지도 않는다. 잊힌 단어가 됐다. 코로나19 때문이라고 하지만 여느 선거 때와는 다른 분위기다. 민주주의의 꽃이라는 선거 문화가 정말 제대로 자리를 잡은 것일까.
아쉽게도 선거판에 남아 있는 몇 가지 현상들은 그런 기대감을 저버린다. 출마자들의 막말, 상대 후보 비방, 아니면 말고 식의 선심성 공약 등등. 개중에 복지라는 이름으로 포장된 포퓰리즘은 신종 바이러스처럼 변화된 모습으로 확산 중이다. 막걸리와 고무신이 50만원, 100만원 등으로 변화된 듯하다.
yidonggu@seoul.co.kr
2020-04-10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