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맘때면 기대 반, 아쉬움이 반이다. 새해를 맞아 좀더 나은 경제력과 지위, 건강 등을 꿈꾸다가도 곁에서 멀어져 가는 이들을 심심찮게 보게 된다. 엊그제까지 함께 일했던 선배와 동료들이 정년퇴직이란 이름으로 직장을 떠난다. 60세 의무 정년이 시행되기 전인 지난 2년간은 만 55세가 된 직장인들이 특히 많이 떠났다.
한때 오륙도, 사오정, 삼팔선 등의 용어들이 크게 유행했다. 기업들이 구조조정에 나설 당시 직장인들의 어려운 처지를 빗대거나 위로해 주던 말이다. 퇴직 후 집에서 삼시 세 끼를 해결하는 남편을 일컫는 ‘삼식이’는 여전히 통용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주부들이 남편의 은퇴 시기가 되면 몸이 아프거나 신경이 날카로워진다는 ‘은퇴 남편 증후군’이란 용어도 생겼다고 한다.
은퇴는 누구나 경험하지만 연습해 볼 수는 없다. 그러나 준비는 할 수 있다. 미국의 몇몇 기업은 퇴직 준비 기간을 최대 5년까지 준다고 한다. 임금피크제 등으로 비용부터 줄이려는 우리 기업들과는 차원이 다른 것 같다. 얼마 전 찬바람 속에 정년을 맞이한 선배의 뒷모습이 떠오른다.
이동구 논설위원 yidonggu@seoul.co.kr
한때 오륙도, 사오정, 삼팔선 등의 용어들이 크게 유행했다. 기업들이 구조조정에 나설 당시 직장인들의 어려운 처지를 빗대거나 위로해 주던 말이다. 퇴직 후 집에서 삼시 세 끼를 해결하는 남편을 일컫는 ‘삼식이’는 여전히 통용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주부들이 남편의 은퇴 시기가 되면 몸이 아프거나 신경이 날카로워진다는 ‘은퇴 남편 증후군’이란 용어도 생겼다고 한다.
은퇴는 누구나 경험하지만 연습해 볼 수는 없다. 그러나 준비는 할 수 있다. 미국의 몇몇 기업은 퇴직 준비 기간을 최대 5년까지 준다고 한다. 임금피크제 등으로 비용부터 줄이려는 우리 기업들과는 차원이 다른 것 같다. 얼마 전 찬바람 속에 정년을 맞이한 선배의 뒷모습이 떠오른다.
이동구 논설위원 yidonggu@seoul.co.kr
2017-01-12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