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진 서강대 경영학과 교수
변화의 핵심은 인류가 아주 오랫동안 꿈꿔 왔던 것들, 즉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장소에서, 원하는 형태로, 원하는 제품과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기술이 개발되고 활용되는 것이다. 이를 ‘온디맨드 서비스 시스템’이라고 한다.
이러한 온디맨드 서비스는 ‘디지털 전환’을 기반으로 한다. 디지털 전환은 사물과 사물의 커뮤니케이션, 정보의 실시간 축적 및 분석, 제품의 서비스화 및 서비스의 제품화를 가져오는 기반이다. 디지털 전환은 제품이나 서비스 자체의 디지털화, 전달 프로세스의 디지털화, 생산·운영 체계의 디지털화, 그리고 거래의 디지털화로 구성된다. 디지털 전환은 자원이나 프로세스의 표준화와 모듈화를 쉽게 해 고객이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형태로 자원을 통합해서 고객이 필요한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들어 낼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비디오온디맨드(VOD)를 보자. 카세트테이프에 담겨 있던 비디오를 디지털로 전환하는 것에서 시작됐고, 전달 프로세스가 디지털화됨으로써 온디맨드 서비스를 가능하게 했다. 이제는 생산 체계마저 디지털로 바뀌고 있으며, 블록체인의 등장으로 거래 과정까지 디지털화되고 있다. 이렇게 되면 이 비즈니스들은 플랫폼 기술을 요구하게 된다. 플랫폼 기술은 초연결성과 초지능성에 기반을 두기 때문에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인공지능 등을 통한 발전으로 온ㆍ오프라인 연계(O2O) 등 새로운 ‘스마트 비즈니스 모델’의 등장을 촉진한다.
특히 블록체인의 등장은 거래의 디지털화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비금융 분야에서 블록체인은 주로 거래의 디지털화를 추구하고 있는데 이는 블록체인을 통한 콘텐츠 소유권, 콘텐츠의 정확성, 콘텐츠 거래에서의 신뢰를 확보함으로써 가능해지고 있다. 여기에 스마트 계약으로 거래 자체의 시간과 조건을 통제할 수 있어 급격하게 개인 간 혹은 회사 간 거래를 디지털화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사물인터넷 기술과 블록체인을 통해 축적된 빅데이터를 공유하고, 인공지능으로 상황을 분석해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생산 체계를 구축하도록 한다. 이런 체계는 개방형 제조 서비스를 가능하게 한다. 즉 스타트업 또는 중소기업이 인터넷을 통해 제품 제작을 의뢰하고 스마트 공장에서 제품을 생산해 온라인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제품을 전달하는 형태로 진행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대기업은 해체되고 각 분야에서 탁월한 성과를 내는 중소기업들이 플랫폼을 기반으로 재통합될 것이다.
기업들은 경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수단들을 가지게 되며 고객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는 수단들을 더 많이 확보하게 되지만 좀더 치열한 경쟁 상황에 처하게 된다. 모든 제품·서비스의 기본 기능에 컴퓨팅 기능을 탑재하고, 고객들의 문제를 즉각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가져야 하며, 다양한 협력 관계를 구성해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인프라 등을 활용할 수 있어야 생존이 가능하다. 기술적인 문제를 이해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고객이 가진 문제를 이해하고 그 문제를 풀기 위한 솔루션을 만들어 고객이 필요한 시점에 필요한 장소에서 필요한 형태로 제공하는 것이다.
디지털 전환은 사물과 사물의 커뮤니케이션, 정보의 실시간 축적 및 분석, 제품의 서비스화 및 서비스의 제품화를 가져오는 기반이다. 따라서 기업들이 생존하고 성장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속한 산업 영역에서의 디지털 전환이 무엇인지 이해하고, 자원의 사용에서 기존에는 제품 형태로만 제공되던 것들을 고객이 필요로 하는 시점과 장소에서 제공할 수 있도록 서비스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2018-04-13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