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때의 사회면] 창경원 나들이/손성진 논설실장

[그때의 사회면] 창경원 나들이/손성진 논설실장

손성진 기자
입력 2017-03-05 17:44
수정 2017-03-05 17: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먹고살기 힘들 때는 놀 여유란 게 있을 수 없었다. 돈이 드는 여가 활동은 사치였다. 그러나 조금씩 삶의 여유가 생기면서 나들이 문화가 생겨났다. 서울 사람들에게 최고의 나들이 장소는 창경원이었다. 서울 구경을 온 시골 사람들에게도 전차를 타고 종로2가에 내려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된 화신백화점을 구경하고 창경원에 들르는 것이 나들이 코스였다.
창경원은 나들이 장소로는 늘 첫손가락이었다. 1970년대까지도 서울 주변에는 딱히 갈 만한 유원지도 없었다. 거의 유일한 휴식처가 창경원이었다. 동물원은 최고의 인기를 누렸고 케이블카, 회전목마, 코끼리열차 등 놀이시설은 아이들의 사랑을 독차지했다. 그러다 보니 창경원의 동향은 늘 기삿거리였다. 코끼리가 방귀만 뀌어도 기사화됐다. 새로운 동물이 들어오거나 새끼를 낳는 등 동물들의 일상사는 단골 기사였다. 벚꽃이 피는 봄철의 휴일이면 수만 명의 시민이 찾았다. 1972년 4월 16일 일요일에는 13만명이 찾았다고 돼 있다. 바가지요금이 극성을 부렸고 미아가 100명이 넘게 발생하는 날이 허다했다. 혼잡한 틈을 타 소매치기들이 설쳐대기도 했다.

창경궁은 성종이 즉위 15년(1484)에 당시 생존했던 선왕 세조·덕종·예종의 비(妃)인 정희·소혜·안순왕후를 위해 지은 궁궐이다. 여러 왕이 창경궁에서 태어났으며 취선당에서 주로 살았던 장희빈이 처형을 당한 곳도 창경궁이고 영조는 아들인 사도세자를 뒤주에 가둔 다음 궁궐 안의 선인문 안뜰에 여드레 동안이나 두어 죽게 했다.

1907년 일제는 고종을 강제 퇴위시키고 순종을 황제로 앉히면서 창덕궁에 머물게 했다. 순종의 이어(移御)와 때를 맞추어 일제는 순종을 위로한다는 명목으로 창덕궁과 붙어 있는 창경궁에 동물원과 식물원 공사를 시작했다. 일제는 각종 동물과 진귀한 식물들을 방방곡곡에서 채집하여 모았다. 이렇게 해서 창경궁 동식물원이 문을 연 것은 1909년 11월 1일이다. 17만평이라는 규모는 당시로서는 동양 최대였다. 일제는 일본에서 벚꽃 나무를 수천 그루 날라다 심었다. 1911년 4월 26일에는 창경궁의 이름을 창경원으로 바꾸었다. 전각 60여 채도 파괴했다. 원(苑)은 사냥이나 놀이를 즐기는 곳이니 궁궐을 유원지로 격하시켜 버린 셈이다. 1924년부터는 벚꽃이 피는 봄철에 밤에도 개장해 밤벚꽃놀이를 시작했다. 일제 때 경성 안내 책자인 ‘대경성’에는 창경원이 이렇게 소개되어 있다. ‘봄에 꽃이 필 때에는 하루에도 입장객이 2만 명이 넘을 정도로 성황을 이룬다. 특히 창경원의 밤벚꽃놀이는 경성 시민 연중 행락 속에서 수위를 차지하며, 또 여름의 납량, 가을의 달맞이, 겨울의 설경 등도 가히 아름답다.’

창경원을 본래의 모습으로 되돌리자는 계획은 1970년대 말에 마련되었다. 1978년 서울대공원이 착공돼 1984년 5월 동물원이 먼저 개장하고 1년 뒤 식물원도 문을 열어 창경원의 동식물을 옮겼다. 창경원은 창경궁으로 이름을 바꾸었고 벚꽃 나무도 모두 뽑혔다.

손성진 논설실장 sonsj@seoul.co.kr

2017-03-06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