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재정의 독사만평] 교토 대나무와 에디슨 전구

[정재정의 독사만평] 교토 대나무와 에디슨 전구

입력 2024-05-05 23:38
수정 2024-05-05 23: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에디슨 전구 필라멘트로 쓰인
교토 대나무, 日 근대화의 돈줄
교토 곳곳에 에디슨 공적 기념물
선구자 기리는 日 문화 본받을 만

지난 3월 일본을 방문한 외국인이 308만명을 넘었다. 한국인이 66만여명으로 가장 많았는데, 상당수는 교토를 다녀왔다. 교토 여행객은 대부분 천룡사(天龍寺)와 함께 죽림(竹林)을 들른다. 어른 허벅지만 한 대나무가 하늘을 찌르듯 빼곡 들어찬 숲속을 거닐면 속세를 떠나 선경(仙境)에 들어간 느낌이 절로 든다. 산들바람이라도 불어 대나무숲이 사각사각 소리를 내면 몸과 마음이 상쾌해진다. 자연 치유다.

그런데 여행객 대다수는 교토 대나무가 에디슨의 백열전구 필라멘트로 활용돼 인류를 광명으로 이끈 사실을 잘 모른다. 진공 상태 속의 필라멘트에 전기를 통하면 열과 빛이 발생한다. 에디슨은 이 원리를 응용해 1879년부터 전구의 실용화에 나섰다. 처음에 면사(綿絲)를 필라멘트로 이용했는데, 기껏해야 10시간을 버티지 못했다. 그때 교토 대나무가 구세주로 등장했다. 교토 대나무를 가공한 필라멘트는 무려 1000시간 이상 끊어지지 않고 빛을 발산했다. 하루 10시간을 켜도 100일이나 견뎠다. 생명이 길어진 에디슨 전구는 불티나게 팔렸다. 더불어 교토의 대나무 수출도 비약적으로 늘어나 근대화의 돈줄이 됐다.

교토는 에디슨의 공적을 잊지 않았다. 아라시야마(嵐山) 기슭의 법륜사(法輪寺)는 행기(行基) 보살이 713년에 건립했다. 이 절을 중흥한 도창(道昌) 스님은 836년 무렵 참배객을 위해 대언천(大堰川)에 다리를 놓았다. 이른바 법륜사교다. 그런데 13세기 후반 구산(龜山) 상황이 달밤에 뱃놀이하며 마치 달이 다리를 건너는 모습 같다고 읊은 이후 도월교(渡月橋)로 불렸다. 법륜사 무대에서 바라보는 도월교 일대 풍경은 아름답기 그지없다.

도월교 끝자락에서 법륜사 본당에 오르는 한적한 계단 중턱에 전전궁(電電宮)과 전전탑(電電塔)이라는 묘한 시설이 있다. 전전궁은 전기·전파 사업의 발전·안전을 기원하는 신사이고, 전전탑은 전기·전파의 발명·활용에 기여한 에디슨과 헤르츠를 기리는 석탑·부조(浮彫)다. 도창 스님은 하늘에서 떨어지는 명성(明星)을 허공장(虛空藏) 보살이 맞아들인 것을 기념해 이곳에 명성사(明星社)를 짓고 전전명신(電電明神, 전기·전파의 시조신)을 봉사(奉祀)하는 신궁으로 삼았다.

일본 유수의 전기·전파 관련 기업 등은 이런 유래를 본떠 법륜사전전궁호지회(護持會)를 결성해 1969년 불타 버린 전전궁을 재건하고 전전탑을 설치했다. 우리가 알 만한 회사 등으로 구성된 호지회는 매년 5월 23일 전전궁제(電電宮祭)를 지낸다. 첨단산업과 토속신앙의 절묘한 결합이다. 그 덕에 에디슨과 헤르츠는 죽은 후에도 머나먼 동아시아 섬나라에서 복을 누리고 있다.

교토의 에디슨 숭모는 야와타시(八幡市)에서 절정에 이른다. 에디슨은 교토 대나무 중에서 야와타시 소재 남산(男山)의 진죽(眞竹)을 많이 사용했다. 야와타시는 번화가에 에디슨도리(通)라는 이름을 붙이고 그 입구에 흉상을 세워 그의 공적을 일깨운다. 남산의 에디슨 기념비는 1984년 디자인을 일신해 새로 건립했는데, 세계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교토는 에디슨·헤르츠를 현창하면서 고장 특산물이 전기·전파 문명을 선도했다는 사실을 세상에 알린다. 교토가 문화재뿐만 아니라 향토의 내력까지 세계사와 결부시켜 홍보하는 자세는 지구촌 시대의 지역 창생에 참고할 만한 사례다.

필자는 작년에 한국 굴지의 조명기구 제작회사 대표와 전기전자연구소 책임자 등을 안내해 법륜사와 전전궁·전전탑 등을 둘러봤다. 해당 분야에서 일가를 이룬 그들은 일본의 낯선 신사문화에 뜨악해하면서도 선구자·공로자를 존중하고 발전·안전을 기원하는 정성에는 공감했다. 아울러 생업에 대한 긍지와 열정을 새삼스럽게 북돋워 준 특별한 역사 기행에 감사했다.

정재정 서울시립대 명예교수

이미지 확대
정재정 서울시립대 명예교수
정재정 서울시립대 명예교수
2024-05-06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