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실리콘밸리은행 파산 악재에도 13일 코스피가 상승세로 마감하자 서울 중구 을지로 하나은행 딜링룸 직원이 밝은 표정으로 시황판을 지나가고 있다. 연합뉴스
SVB 파장과 별개로 이번 사태에서 눈여겨봐야 할 대목은 ‘쏠림’이 얼마나 위험한지를 다시 한번 일깨워 줬다는 사실이다. 기술테크 기업이 주된 고객인 SVB는 단기간에 예금이 급증하자 저금리 장기채권에 대거 투자했다. 그런데 예상보다 훨씬 빠르고 강하게 금리 인상이 단행되면서 채권값 급락에 따른 손실을 떠안아야 했고, 급기야 고객들의 예금 인출 요구를 감당 못할 지경에 이르면서 파국을 맞았다. 국내 금융권도 우르르 몰려간 곳이 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부동산 PF 잔액은 116조 6000억원이다. 1년 새 15조원 가까이 급증했다. 대출 잔액의 74%를 보험ㆍ증권 등 2금융권이 쥐고 있다. 그나마 은행들은 상대적으로 안전한 아파트 위주이지만 비은행권은 아파트 외 사업장 비중이 높다. 공사 진척 대비 분양률이 낮은 고위험 사업장은 저축은행의 경우 30%나 된다. 증권사도 24%다.
지난해 말 레고랜드 사태로 부동산 PF 경각심이 고조되는 듯했으나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 등과 맞물려 느슨해지는 양상이다. 연체율 분석 등 면밀한 진단을 통해 PF 사업장의 옥석을 가리고 선제적인 구조조정도 불사해야 하다. 거품을 조금씩 빼지 않으면 순식간에 뱅크런(대규모 자금 인출)이 닥친다는 교훈을 SVB 사태는 여실히 말해 주고 있다.
2023-03-14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