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군 의료문제 안보차원서 접근해야 한다

[사설] 군 의료문제 안보차원서 접근해야 한다

입력 2012-01-13 00:00
수정 2012-01-13 00: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난해 7월 육군 김모 상병이 급성백혈병에 걸렸으나 이 병원 저 병원 전전하다 사망한 것으로 뒤늦게 드러났다. 그의 죽음이 황망하기만 한 것은 그에 앞서 뇌수막염을 앓던 훈련병이 사망하는 등 부실한 군 의료체계로 인해 3명이나 죽었기 때문이다. 청와대까지 나서 “군 의료기관을 삼성병원과 같은 최고 수준으로 만들겠다.”고 공언한 이후여서 더욱 그렇다. 의료체계 개선이 하루아침에 되는 일이 아니라 해도 여전히 일선 부대에서는 응급 환자 발생 시 제대로 대처를 못해 꽃다운 젊은이들이 죽음으로 내몰리고 있음이 여실히 드러났다고 하겠다.

안타까운 것은 김 상병이 촌각을 다투는 환자인데도 당초 군 당국에서는 그가 당시 유행하던 뇌수막염에 걸린 것으로 판단하면서 병명을 찾는 데 많은 시간을 허비했다는 점이다. 군 의료진의 전문성이 아쉬운 대목이라 하겠다. 군은 김 상병의 경우 처음부터 대학병원에 보내는 등 나름대로 최선을 다했다고는 하지만 부모 입장에서 보면 보다 좋은 병원에서 속 시원하게 치료 받지 못한 채 숨진 것이 얼마나 원통한 일이겠는가. 미국은 대통령이 아프면 군 병원을 먼저 찾을 정도로 군 의료가 신뢰를 받고 있다고 한다. 그 수준까지는 아니라고 해도 적어도 전선을 지키는 아까운 청춘들을 저렇게 보낼 수는 없다.

아프다고 호소하면 꾀병 내지 우울증으로 몰고 가고, 툭하면 오진하고 늑장 대응하는 군부대의 의료 현실을 보면 군에 자식을 보낸 부모들은 억장이 무너진다. 군 의료문제는 이제 안보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 연간 무기 구입에는 10조원이 넘는 예산을 쓰면서 국방의 의무를 다하는 장병들의 건강 챙기기에는 겨우 2200억원을 쓴다면 누가 나라 지키는 데 앞장서겠는가. 최고 수준의 군 의료기관은 말로 되는 일이 아니다. 전문화된 군 의료 인력과 장비 확충 등 군 의료 개선 작업에 필요한 예산부터 먼저 뒷받침해야 한다.

2012-01-13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