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 우리말] ‘꾀다’와 ‘꼬시다’/오명숙 어문부장

[똑똑 우리말] ‘꾀다’와 ‘꼬시다’/오명숙 어문부장

오명숙 기자
입력 2021-03-31 20:22
수정 2021-04-01 01: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에서만 하루 평균 6억원의 피해가 날 정도로 보이스피싱에 속아넘어가는 사람이 여전히 많다고 한다. 보이스피싱 수법에 대해 잘 안다는 사람도 막상 전화를 받으면 당황스러운 마음에 시키는 대로 행동하게 된단다. 최근에는 ‘070’으로 시작하는 번호를 ‘010’으로 바꿔 주는 특수 기계까지 등장했다니 모르는 번호로 전화가 오면 일단 의심해 봐야 할 듯하다.

‘그럴듯한 말이나 행동으로 남을 속이거나 부추겨서 자기 생각대로 끌다’란 뜻의 동사는 ‘꼬이다’이다. 준말은 ‘꾀다’이다. “영화를 같이 보자고 친구가 꼬이는 것을 못 이기는 체하고 받아 주었다”, “그는 돈 많은 과부를 꾀어 결혼했다” 등처럼 쓰인다. 이런 유형의 복수 표준어에는 ‘고이다/괴다’, ‘쏘이다/쐬다’, ‘조이다/죄다’, ‘쪼이다/쬐다’ 등이 있다.

‘꼬드기다’도 ‘꾀다’와 비슷한 의미로 쓰인다. ‘어떠한 일을 하도록 남의 마음을 꾀어 부추기다’란 뜻이다. “친구를 꼬드겨 군것질을 하다”처럼 사용한다.

그렇다면 ‘꼬시다’는 표준어일까? 언뜻 생각하기에 비표준어일 듯도 한데 ‘꼬시다’ 역시 표준어이다. 입말에서 세를 넓혀 뒤늦게 표준어가 됐다. 원래는 ‘고소하다’의 강원·경상·전라도 사투리였다. ‘이성과 사귀려고 수작을 부리다’ 등의 의미로 실생활에서 널리 쓰이면서 2014년 표준어가 됐다. ‘꾀다’와 어감상 차이가 있다고 판단해 별도 표준어로 추가한 경우다.

oms30@seoul.co.kr
2021-04-01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