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수의 연구노트] 92년생 안준호

[이정수의 연구노트] 92년생 안준호

이정수 기자
이정수 기자
입력 2021-09-15 19:58
수정 2021-09-16 00: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최근 사회적인 반향을 일으킨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D.P.’는 특히 군 복무를 마친 남성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탈영병 잡는 ‘군무 이탈 체포조’라는 소재도 신선했지만 군대를 다녀온 남성이라면 크든 작든 누구나 겪었을 군대 내 폭력을 사실적으로 묘사했기 때문이다.

규율이란 이름의 폭력으로 통제되는 작은 사회에 강제 편입된 20대 남성들은 그 안에서 부여받은 위계 서열에 복종하는 법을 첫날부터 몸으로 배운다. 주인공 안준호 이병이 훈련소에 입소하는 장면에서부터 많은 남성 시청자들이 “PTSD(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가 오는 것 같다”며 공감하는 이유다.

일각에서는 ‘D.P.’가 많은 남성들의 심리적 공감대를 이끌어 냈다는 점에서 남성판 ‘82년생 김지영’이라 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016년에 발간된 소설 ‘82년생 김지영’은 우리 사회에 만연한 성폭력, 독박 육아 등 여성들이 겪는 차별을 담아내 페미니즘 필독서로 꼽힌다.

‘D.P.’는 원작자가 의도하지 않았더라도 어떤 측면에서는 ‘82년생 김지영’의 대척점에 설 수밖에 없는 작품이다. 페미니즘 영향력이 확장되면서 2030 남성들을 중심으로 안티 페미니즘 여론 역시 굳어진 현실에서 대다수 남성들이 공유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피해자로서의 기억은 군대에서 경험한 폭력인 탓이다.

넷플릭스 제공
넷플릭스 제공
각각의 시청자와 독자에게 받아들여지고 해석되는 지점을 향한 비판과 공격도 두 작품에서 묘하게 닮아 있다. ‘82년생 김지영’이 불티나게 팔리고 영화화되던 때에 일부 온라인 남초 커뮤니티 등에서는 “62년생 김순자라면 이해했을 텐데 82년생 여자가 무슨 차별을 겪었냐”는 평이 지지를 얻었다. 반면 최근 ‘D.P.’ 인기에 대해 일부 여초 커뮤니티에서는 “‘여성 상위시대’라고 주장하던 남자들의 선택적 공감”이라는 여론이 힘을 얻고 있다.

공직자 선거 결과에서마저 극명하게 드러나기 시작한 젊은 세대 중심의 젠더 갈등은 대한민국의 미래를 좀먹는 거대한 장애물이 되고 있다. ‘D.P’와 ‘82년생 김지영’, 그리고 사회적 차별과 부조리를 다룬 그 밖의 많은 작품을 감상하면서 성별 간 편 가르기 시각으로만 접근하는 것이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까.

온갖 구타와 괴롭힘을 당한 조석봉 일병이 신참들에게 무시당하지 않으려 스스로 가해자가 되는 장면에서 선과 악의 경계는 잠시 흐려진다. 차별을 강제하는 제도, 관습 등이 남아 있는 한 누군가는 피해자가 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보여 준다.

‘대한민국 국민인 남성은 헌법과 이 법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병역의무를 성실히 수행하여야 한다.’(대한민국 병역법 제3조) ‘D.P’의 매회 첫머리에 등장하는 이 문구는 국가가 공인한 차별이 얼마나 공고한지 보여 준다.
2021-09-16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