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간 심혈을 기울인 이번 기획을 파급력 측면만 놓고 본다면 성공일까 실패일까. 서울신문 공식 유튜브 채널에 올린 영상 콘텐츠는 의미 있는 조회수를 기록하지 못했다. 발표가 다 끝나고 뒤늦게 쓴 종합 기사에도 댓글은 거의 없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결과를 가장 먼저 접했을 경로인 멜론 사이트 상황은 훨씬 낫긴 했지만 폭발적인 반응까지는 아니었다. 하지만 사람들의 진짜 반응은 기획자가 의도한 울타리 너머에서 터져나왔다. 해당 소식을 전한 한 케이팝 관련 커뮤니티에선 게시글 하나에 댓글 1000개가 넘게 달렸다. 여러 SNS와 온라인 카페, 커뮤니티 등으로 명곡 리스트는 빠르게 전파됐고 곳곳에서 화제를 모았다.
이런 현상은 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가 공급자 중심이 아닌 수용자 중심으로 소비되고 재생산되는 지금의 온라인 환경을 보여 준다. 이렇게 ‘퍼날라지는’ 게시물은 작성자의 시각을 반영하기도 한다. 발표된 리스트는 ‘케이팝 100대 명곡’이지만 그것을 소스로 해 기획사별 순위, 걸그룹·보이그룹별 순위 등을 만들어 낸다. 팬들은 각자가 좋아하는 아티스트의 순위와 선정평을 재가공해 소비한다.
이번 기획에 참여한 김윤하 대중음악평론가는 순위 공개 후 트위터에 “전 이런 명반ㆍ명곡 순위는 까여야 제맛이라고 생각한다. 재미있는 이야기들 많이 나눠 달라”고 적었다. 순위에 불만을 표한 많은 네티즌들은 ‘선정위원마저 디스한 순위’로 받아들였지만, 김 평론가의 이 말은 메타비평이 있어야 훨씬 더 풍부해질 수 있는 비평의 본질에 대한 이야기로 보는 게 타당할 것이다.
2021-09-0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