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로의 아침] 엔데믹과 다시 시작될 여행/손원천 문화부 선임기자

[세종로의 아침] 엔데믹과 다시 시작될 여행/손원천 문화부 선임기자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22-03-20 20:34
수정 2022-03-21 02: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손원천 문화부 선임기자
손원천 문화부 선임기자
며칠 전 해외 항공권 예약률이 900% 가까이 뛰었다는 뉴스가 잠깐 화제가 됐다. 정부가 해외 입국자에 대한 격리의무를 해제한다는 보도 이후에 나온 관광업계의 반응이었다. 예약률이 실제 항공권 구매로 이어지는 건 물론 아닐 것이다. 게다가 이 수치와 비교할 만한 대조군 자체가 무의미했다는 점, 그러니까 지난해 같은 기간의 해외 항공권 예약이 실질적으로 전무했다는 점에서 보면 그저 흥미를 끌 만한 뉴스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다. 그래도 코로나 팬데믹 시대에 사람들이 얼마나 해외여행에 목말라하고 있는지를 여실히 드러낸 해프닝이었다.

특별한 변화가 생기지 않는 한, 21일부터 해외 입국자에 대한 격리가 해제된다. 백신 접종 완료자로 국한하는 등 몇몇 제한 요건을 두긴 했지만, 대부분의 국민들에게 사실상 닫혔던 해외여행의 문을 여는 것과 다름없는 신호로 받아들여진다. 이는 코로나19를 엔데믹(풍토병으로 굳어진 감염병)으로 간주하려는 세계적인 추세와도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미증유의 팬데믹 기간 동안 우리 관광산업 생태계는 지각변동과 다름없는 격변을 겪었다. 관광업계의 무덤이라 할 만큼 무수히 많은 업체들이 문을 닫는 등 타격을 받았다. 이제 조만간 내국인의 해외여행이 늘고, 그에 못지않게 외국인의 국내 여행도 큰 폭으로 증가할 것이다. 우리 관광 현장은 엔데믹 시대에 잘 대비하고 있을까. 팬데믹이야 준비 없이 맞을 수밖에 없었다 해도 엔데믹마저 그리 할 수는 없다.

팬데믹 이후 관광업계에 몰아친 가장 뚜렷한 변화는 관광산업의 디지털 변환이다. 관광 정보 획득, 관광 상품 예약과 결제 등 대부분의 관광산업 영역이 디지털 체제로 전환됐다. 기술환경의 변화에 따라 관광산업의 변화는 더욱 빨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디지털은 물론 쉽고 빠르고 편한 것이다. 하지만 디지털이 절대선일 수는 없다. 국가 정책이 지나치게 디지털 일변도로 추진되면 뒤처지는 국민들이 생길 수밖에 없다. 그 간극은 기술이 발전할수록 커질 것이다. 휴머니즘이 결여된 디지털은 불통의 화신이 될 가능성이 아주 높다. 또 다른 차별을 조장하는 도구로 작용할 수도 있다. 개인 기업이 그리하는 건 어쩔 수 없다지만 그 간극을 공공기관이 앞장서 만들어서는 안 될 일이다. 뒤처지는 국민들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일, 국민 간 간극을 메워 주는 일이 공공기관이 할 일이다.

축제에 대한 손질도 필요하다. 머지않아 그동안 열리지 못했던 무수한 지역 축제들이 봇물처럼 개최될 것이다. 국민들의 의식 수준이 무척 높아진 지금, 예전과 같은 주민잔치 식의 축제로는 더이상 기대할 게 없다. 지방자치단체별로 취사선택할 목록을 미리, 분명하게 정해 둬야 할 것이다.

아울러 느리게 사는 삶에 대한 콘텐츠를 늘릴 필요가 있다. 사람들은 이제 오래 사는 것을 떠나 건강한 삶을 지속하는 것에 더 관심이 많다. 이처럼 삶의 방식까지 변화시키면서 좀더 맑고 깨끗한 환경에서 오래 머물려는 바람에 호응할 수 있는 중·장기 프로그램들을 지자체마다 준비해야 한다.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는 실천적 운동이 필요하다.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비치코밍’(해변을 빗질하듯 바다 표류물이나 쓰레기를 줍는 것) 같은 여행 패턴들이 덩달아 국민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한데 정작 온실가스 배출의 원흉 중 하나로 꼽히는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공감대는 그리 폭넓게 형성돼 있지 않은 듯하다.

여행업체들에 대한 폭넓은 지원책도 필요하다. 팬데믹 이후 여행 관련 콘텐츠 기업들은 절멸했거나 고사 직전이다. 반면 정부가 내놓는 정책은 여행업체에 거의 적대적이라 할 정도로 빈약하다.
2022-03-21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