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명묵 서울대 아시아언어문명학부 재학생
두 나라의 갈등은 뿌리가 상당히 깊다. 아르메니아는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기독교 국가였지만, 터키의 전신인 오스만제국의 지배를 오랫동안 받고 있었다. 그런데 러시아의 남진으로 캅카스의 무슬림들이 기독교의 지배를 받는 처지에 놓였고, 그 결과 다수의 무슬림 난민들이 오스만으로 유입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쌓인 적대감은 세계대전에서 러시아와 오스만이 붙으며 폭발했고, 오스만은 러시아 편이 될지도 모른다는 이유로 아르메니아인을 학살했다. 아르메니아 현대사의 가장 큰 비극이었다. 같은 튀르크 민족으로 터키와 각별한 관계인 아제르바이잔을 아르메니아가 곱게 볼 수 없는 이유다.
세계대전이 끝나면서 그나마 상황은 호전됐다. 러시아 세력이 회복된 덕이 컸다. 양국은 소련의 구성국이 됐고, 자치도 허락받았다. 구원은 남았지만 어쨌든 그들은 볼셰비키가 내건 민족 우호의 기치 아래에서 공존했다. 그런데 소련이 해체되면서 문제가 재발했다. 아제르바이잔에 속한 아르메니아인 자치 지역인 나고르노 카라바흐가 독립을 선언했고, 아르메니아군이 이에 개입하면서 양국 간 전쟁이 벌어진 것이다. 아르메니아가 전쟁에서 승리하면서 아제르바이잔은 이 지역에 대한 통제를 상실했다. 그러나 아르메니아도 아제르바이잔과 터키에 의해 지리적으로 고립되면서 경제적 어려움을 겪어야 했다. 지금 충돌은 길게는 100년, 짧게는 30년간 누적돼 온 불화의 결과물이다.
하지만 충돌에 관한 이야기는 더 긴 공존의 역사를 지우기도 한다. 어쨌든 학살부터 독립에 이르기까지 70년 동안 두 민족은 공존했기 때문이다. 세계대전과 학살 전에도 두 민족은 평화롭게 지냈었다. 혹시 이 시기 공존의 비결을 알면 문제를 해결할 실마리를 찾을 수도 있지 않을까?
안타깝게도 이 또한 힘든 일인 것 같다. 역사학자 아자 가트는, 역사 속에서 민족 갈등이 억제돼 온 중요 원인 중 하나를 제국의 지배에서 찾는다. 제국 정부가 제공하는 억압적 질서는 역설적으로 민족 간 갈등도 누르면서 힘에 의한 공존을 만들었다. 그 힘이 느슨해지자, 해묵은 원한이 다시 터져 나왔다. 오스만과 소련의 해체와 맞물린 갈등의 분출은 가트의 설명과 정확히 부합하는 듯하다.
그러니 양국 사이에 새로운 공존의 길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100년 전에도 제기됐던 다음의 질문에 대한 답을 고민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제국이 사라진 세계에서 여러 민족이 공존할 수 있는 길은 과연 무엇일까?”
2020-10-09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