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승 전 식약처장
간혹 언론을 통해 어린이집 등의 비위생적이고 밥과 단무지 일색인 불량 식단이 고발되면 부모들을 분노케 할 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적인 불안감을 형성하고, 결국 정부에 대한 불신감으로까지 확대된다. 2012년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국민의 27%가 급식 안전에 대해 불안감을 느끼고 있다. 대다수의 어린이 급식소에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규모가 작은 어린이 급식소에서는 전문 인력인 영양사를 고용하기 어려워 안전과 영양을 고려한 급식 제공이 상대적으로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식약처는 이러한 학부모 불안감을 없애기 위해 어린이 급식소의 위생 및 영양관리 등을 지원하는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설치를 추진해 오고 있다. 지난해 말에는 ‘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 특별법’을 개정해 50명 이하 소규모 어린이 급식소도 급식안전관리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센터가 전국적으로 확대됨에 따라 전국에 있는 센터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수행할 ’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 설치 근거도 마련했다.
지원센터란 급식 위생과 영양을 체계적으로 관리해줄 뿐만 아니라, 어린이들에게 손 씻기 등 위생·영양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아이들이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시설이다. 유치원, 어린이집 교사들의 만족도는 87%에 이를 정도로 높으며 조리원의 위생 수준이 개선되고, 어린이들의 편식이 개선되는 등 여러 성과도 나타나고 있다. 현재 전국에 88곳의 센터가 설치·운영 중에 있지만, 이는 전체 어린이 급식소의 21%를 지원하는 데 그치는 수준이다. 전국 모든 어린이들이 골고루 혜택을 받으려면 최소 500곳 이상의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가 필요하다. 올해까지 전국에 188개소의 센터가 설치되도록 예산을 확보하고 설치되도록 노력하고 있다.
재정적 어려움 등으로 센터 설치에 소극적인 지자체가 많은 점이 안타깝다. 어린이 건강을 위한 사업은 다른 어떤 사업보다 우선시돼야 한다. 적은 비용으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정책을 적극적으로 수용했으면 한다. 특히, 소규모 어린이 급식소가 밀집된 서울, 경기지역 등 수도권에 지원센터가 더욱 많이 설치될 수 있도록 부모님과 지역단체장의 관심과 의지가 요구되는 때다. 우리 아이들이 걱정 없이 먹고 즐길 수 있는 ‘안심 급식’은 나와 가까운 지역에서부터 시작돼야 한다.
2014-02-28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