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브레인이 자체 개발한 멀티모달 언어모델(MLLM)의 소스코드 ‘허니비’에 이미지와 문자로 질문해 답변을 받은 모습.
카카오브레인 제공
카카오브레인 제공
LLM에 이미지 인식·분석 기능 추가돼
카카오브레인 “KoGPT2.0 개발은 완료”지난해 공개하겠다고 예고한 대규모언어모델(LLM) ‘코(Ko)GPT2.0’(가칭)를 아직 내놓지 못한 카카오가 대신 LLM과 이미지를 연결하는 멀티모달 언어모델(MLLM)의 소스코드를 공개했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 내정자는 19일 여의도 FKI타워(옛 전경련회관)에서 이종호 장관 주재로 열린 제5차 인공지능 최고위 전략대화에서 자체개발 MLLM 오픈소스 ‘허니비’를 공개했다. 허니비는 자체로 인공지능(AI) 모델은 아니며, LLM이나 AI 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는 모듈 성격의 소스코드다.
허니비를 LLM에 적용하면 모델은 이미지와 명령어로 된 질문에 글로 답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농구 경기를 하고 있는 두 명의 선수 이미지와 함께 ‘왼쪽 선수는 몇 번 우승했느냐’고 영어로 질문하면, 입력된 이미지 내용과 질문을 종합적으로 이해해 답변을 생성한다. 허니비를 통해 LLM을 확장, MLLM으로 만들 수 있게 되는 셈이다. 카카오브레인은 개발자들이 자유롭게 소스코드를 공유하는 깃허브에 허니비를 공개해, 누구나 사용하거나 변경할 수 있게 했다.
카카오브레인은 KoGPT2.0의 개발이 완료돼 모델을 확보했지만 공개 방식 등을 아직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카카오는 네이버 등 경쟁사에 비해 LLM 개발과 출시가 늦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오픈AI, 구글 등 해외 빅테크가 아주 빠른 속도로 생성형 AI 기술을 고도화하는 가운데, 자체 개발 LLM 출시조차 늦어지면 시장에서 AI 주도권을 잡기 어렵다.
네이버는 지난해 8월 출시한 LLM ‘하이퍼클로바X’의 매개변수(파라미터) 수를 2040억개라고 밝혀 출시 전부터 모델의 규모를 공개했다. 하지만 카카오브레인은 아직 KoGPT2.0의 규모조차 공개하지 않고 있다. 다만 꼭 파라미터 수가 많아야 하는 것은 아니라는 판단으로, 서비스 목적에 따라 다양한 규모로 최적화한 버전을 공개할 방침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