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 거래소’ 빗썸, 시장감시위원회 출범

‘가상자산 거래소’ 빗썸, 시장감시위원회 출범

유규상 기자
유규상 기자
입력 2024-07-16 23:56
수정 2024-07-16 23: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총 5개 위원회로 감시체계 구축

이미지 확대
지난 15일 이재원(왼쪽에서 네 번째) 빗썸 대표이사가 서울 강남구 빗썸 본사에서 시장감시위원회 발족식을 열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빗썸 제공
지난 15일 이재원(왼쪽에서 네 번째) 빗썸 대표이사가 서울 강남구 빗썸 본사에서 시장감시위원회 발족식을 열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빗썸 제공
가상자산 거래소 빗썸이 시장 감시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내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시장감시위원회’를 출범시켰다.

16일 빗썸은 시장감시위원회가 ▲가상자산 이상거래 관련 정책 수립 ▲이상거래 심리 결과 심의 ▲관련자 제한 조치 결정 ▲불공정거래행위 감시 등의 기능을 맡는다고 밝혔다. 이재원 대표이사가 위원장을 맡고 준법감시인, 시장감시실장, 투자자보호실장, 법무실장 등 빗썸 경영진 외에 외부 전문가로 금융감독원 디지털금융혁신국장 출신인 김용태 법무법인 화우 고문이 참여한다.

시장감시위원회 신설로 빗썸은 기존 투자자보호위원회, 내부통제위원회, 자금세탁위험관리위원회, 거래지원심의위원회를 포함해 총 5개의 위원회 체계를 갖추게 됐다.

2024-07-17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