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8개월째 늘어… 증가 속도는 한풀 꺾여

가계대출 8개월째 늘어… 증가 속도는 한풀 꺾여

민나리 기자
민나리, 유규상 기자
입력 2024-01-03 02:12
업데이트 2024-01-03 02: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신용대출 감소에 상승세 주춤

국내 5대 은행(KB·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의 가계대출이 8개월째 상승세를 그렸으나 소폭 둔화됐다. 신용대출이 감소하며 전체 가계대출 상승세를 일부 붙잡은 것으로 보인다.

2일 5대 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692조 4094억원으로 전월 대비 2조 238억원(0.29%) 증가했다. 은행의 가계대출은 지난해 5월부터 줄곧 상승세를 보였다. 5월엔 전월 대비 1431억원(0.21%) 증가하는 데 그쳤지만, 증가폭이 점점 확대됐다. 10월엔 3조 6825억원(0.54%)이 늘었고, 11월엔 4조 3737억원(0.64%) 증가하며 올해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가계대출 증가세를 견인해 왔던 주택담보대출 증가세가 전월 대비 주춤한 데다 신용대출은 큰 폭으로 감소했다. 지난달 이들 은행의 주담대 잔액은 529조 8922억원으로 전월 대비 3조 6699억원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10월 증가폭(3조 3676억원)보다는 많지만, 11월(4조 9958억원)보다는 26.5% 감소한 수치다. 신용대출의 경우 106조 4851억원으로 같은 기간 1조 2339억원 감소했다. 은행 관계자는 “통상 연말에는 성과급 등으로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신용대출을 먼저 갚는 개인 차주들이 많다”고 말했다. 정부는 가계대출 증가세의 원인인 주담대를 잡기 위해 오는 2월부터 기존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보다 엄격한 ‘스트레스 DSR’ 제도를 시행하기로 했다.

한편 지난해 부동산 경기가 일부 회복하면서 연간 주담대 잔액은 큰 폭으로 늘어난 것으로 드러났다. 2022년 12월 말까지 주담대 잔액은 513조 1416억원이었는데 1년 새 16조 7506억원 불었다. 같은 기간 전세대출과 신용대출은 각각 10조 9265억원, 12조 4912억원 줄었다.

민나리·유규상 기자
2024-01-03 1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