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온 영끌, 치솟는 가계대출

돌아온 영끌, 치솟는 가계대출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23-08-09 23:55
업데이트 2023-08-09 23: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출 잔액 한 달 새 6조 늘어
‘초저금리 시대’ 수준 증가세

이미지 확대
주택담보대출을 비롯한 가계대출이 빠르게 증가하는 가운데, 가계대출 증가폭이 ‘초저금리’와 ‘영끌 열풍’ 시대였던 2021년 중반 수준으로 돌아간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과 주식 등 자산시장으로의 ‘빚투’가 되살아나며 은행권 가계대출 잔액은 1068조원으로 역대 최대 기록을 갈아치웠다. 9일 한국은행의 ‘2023년 7월 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7월 말 은행 가계대출 잔액은 1068조 1431억원으로 6월(1062조 1878억원)보다 약 6조원(5조 9553억원) 증가하며 역대 최대 기록을 다시 썼다.

7월의 가계대출 증가폭(6조원)은 2021년 9월(+6조 4000억원) 이후 1년 10개월 만의 최대치다. 가계대출은 올해 1분기(1~3월) 8조 2000억원 줄었지만 4월(+2조 3000억원)부터 4개월째 증가세를 이어 가며 증가폭도 매달 커지고 있다. 초저금리를 발판으로 부동산과 주식 등 자산시장의 ‘영끌 열풍’이 거셌던 2021년 8월과 9월에 가계대출은 각각 6조 1000억원, 6조 4000억원 증가한 뒤 2021년 말부터 증가폭이 크게 꺾였으나, 기준금리가 연 3.50%로 정점에 다다른 현재 오히려 가계대출은 초저금리 시대에 맞먹는 수준으로 늘고 있는 것이다.

가계대출 증가는 주택담보대출이 이끌고 있다. 전세자금대출을 포함한 주담대가 6월(전월 대비 +6조 9000억원)에 이어 7월에도 6조원 증가하는 등 큰 폭의 증가세를 이어 가며 전체 가계대출을 늘리고 있다. 주담대는 영끌 열풍이 거셌던 2021년 7월 6조원 증가했다. 가계대출 증가세는 되살아난 부동산 및 주식 투자와 맞물려 있다. 7월의 주담대 증가는 전세자금대출이 2000억원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주택 구매 수요가 늘며 증가했다고 한은은 밝혔다.

전체 금융권으로 넓혀 봐도 가계대출의 증가 추세는 뚜렷하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공개한 ‘2023년 7월 중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7월 제2금융권을 포함한 전체 금융권 가계대출은 5조 4000억원 증가해 4개월 연속 증가했다. 주담대는 총 5조 6000억원 늘어 6월(6조 4000억원)에 이어 높은 증가세를 이어 갔다.

김소라 기자
2023-08-10 15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