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혼부부 4쌍 중 3쌍, 아파트에 산다… 자가 44%·임차 53%

신혼부부 4쌍 중 3쌍, 아파트에 산다… 자가 44%·임차 53%

이정수 기자
이정수 기자
입력 2023-12-22 10:22
수정 2023-12-22 10: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만 19~34세 청년 가구는 ‘자가’ 13%뿐
고령 가구, ‘주택 개량·개보수 지원 필요’
이미지 확대
21일 오전 서울 여의도 63아트센터에서 바라본 서울 아파트 단지 모습. 2023.12.21 연합뉴스
21일 오전 서울 여의도 63아트센터에서 바라본 서울 아파트 단지 모습. 2023.12.21 연합뉴스
혼인한 지 7년 이하인 신혼부부 가구 43.6%가 자가에 거주하며, 73.3%는 아파트에 살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22일 나왔다. 반면 청년 가구는 임차 거주 비율이 82.5%에 달했으며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

국토교통부는 이날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2년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국토연구원과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5만 1000가구를 대상으로 개별 면접을 통해 조사했다.

신혼부부는 아파트 거주 비율이 대부분이었고, 단독주택(10.7%)과 다세대(10.5%)에 거주하는 경우는 10% 정도에 그쳤다.

신혼부부의 경우에도 자가 거주보다 임차(52.9%)를 한 비율이 더 높았다. 무상은 3.5%였다.

신혼부부의 최저주거기준 미달 가구 비율은 1.9%로 일반가구(3.9%)보다 낮은 편이나, 평균 가구원수가 많아 1인당 주거면적은 일반가구(34.8㎡)보다 좁은 26.6㎡였다.

가구주의 연령이 만 19~34세인 청년 가구는 자가 거주가 13.2%에 그쳤다. 무상은 4.3%였다. 아파트 거주 비율(31.3%)이 단독주택보다 낮았으며 다세대는 11.2%였다.

청년 가구의 최저주거기준 미달 가구 비율은 8.0%로 신혼부부의 4배를 넘었다. 다만 1인당 주거면적은 30.4㎡로 신혼부부보다 넓었다.

가구주 연령이 만 65세 이상인 고령 가구는 75.0%가 자가에 거주했다. 이어 임차(19.8%), 무상(5.2%) 순이었다.

고령 가구는 아파트(44.7%) 거주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단독주택(41.7%), 다세대(7.8%)가 뒤를 이었다.

이미지 확대
20일 오전 서울 중구 소월로 인근 주택과 남산에 눈이 쌓여있다. 2023.12.20 연합뉴스
20일 오전 서울 중구 소월로 인근 주택과 남산에 눈이 쌓여있다. 2023.12.20 연합뉴스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 비율은 2.8%로 신혼부부보다는 높지만 일반가구보단 낮았다. 1인당 주거면적은 45.7㎡로 일반가구보다 넓었다.

‘가장 필요한 주거지원’을 묻는 질문에 신혼부부는 ‘주택 구입자금 대출지원’(49.1%)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전세자금 대출지원’(30.4%), ‘장기 공공임대 주택 공급’(5.3%) 순이었다.

청년 가구는 ‘전세자금 대출지원’(38.3%)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월세보조금 지원’(22.1%), ‘주택 구입자금 대출지원’(20.3%)이 뒤를 이었다.

고령 가구는 ‘주택 구입자금 대출지원’(26.9%)에 이어 ‘주택 개량·개보수 지원’(23.2%) 응답이 많은 점이 눈길을 끌었다. ‘장기 공공임대주택 공급’은 17.1%이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