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 19~34세 청년 가구는 ‘자가’ 13%뿐
고령 가구, ‘주택 개량·개보수 지원 필요’
혼인한 지 7년 이하인 신혼부부 가구 43.6%가 자가에 거주하며, 73.3%는 아파트에 살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22일 나왔다. 반면 청년 가구는 임차 거주 비율이 82.5%에 달했으며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
국토교통부는 이날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2년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국토연구원과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5만 1000가구를 대상으로 개별 면접을 통해 조사했다.
신혼부부는 아파트 거주 비율이 대부분이었고, 단독주택(10.7%)과 다세대(10.5%)에 거주하는 경우는 10% 정도에 그쳤다.
신혼부부의 경우에도 자가 거주보다 임차(52.9%)를 한 비율이 더 높았다. 무상은 3.5%였다.
신혼부부의 최저주거기준 미달 가구 비율은 1.9%로 일반가구(3.9%)보다 낮은 편이나, 평균 가구원수가 많아 1인당 주거면적은 일반가구(34.8㎡)보다 좁은 26.6㎡였다.
가구주의 연령이 만 19~34세인 청년 가구는 자가 거주가 13.2%에 그쳤다. 무상은 4.3%였다. 아파트 거주 비율(31.3%)이 단독주택보다 낮았으며 다세대는 11.2%였다.
청년 가구의 최저주거기준 미달 가구 비율은 8.0%로 신혼부부의 4배를 넘었다. 다만 1인당 주거면적은 30.4㎡로 신혼부부보다 넓었다.
가구주 연령이 만 65세 이상인 고령 가구는 75.0%가 자가에 거주했다. 이어 임차(19.8%), 무상(5.2%) 순이었다.
고령 가구는 아파트(44.7%) 거주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단독주택(41.7%), 다세대(7.8%)가 뒤를 이었다.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 비율은 2.8%로 신혼부부보다는 높지만 일반가구보단 낮았다. 1인당 주거면적은 45.7㎡로 일반가구보다 넓었다.
‘가장 필요한 주거지원’을 묻는 질문에 신혼부부는 ‘주택 구입자금 대출지원’(49.1%)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전세자금 대출지원’(30.4%), ‘장기 공공임대 주택 공급’(5.3%) 순이었다.
청년 가구는 ‘전세자금 대출지원’(38.3%)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월세보조금 지원’(22.1%), ‘주택 구입자금 대출지원’(20.3%)이 뒤를 이었다.
고령 가구는 ‘주택 구입자금 대출지원’(26.9%)에 이어 ‘주택 개량·개보수 지원’(23.2%) 응답이 많은 점이 눈길을 끌었다. ‘장기 공공임대주택 공급’은 17.1%이었다.
고령 가구, ‘주택 개량·개보수 지원 필요’
21일 오전 서울 여의도 63아트센터에서 바라본 서울 아파트 단지 모습. 2023.12.21 연합뉴스
국토교통부는 이날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2년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국토연구원과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5만 1000가구를 대상으로 개별 면접을 통해 조사했다.
신혼부부는 아파트 거주 비율이 대부분이었고, 단독주택(10.7%)과 다세대(10.5%)에 거주하는 경우는 10% 정도에 그쳤다.
신혼부부의 경우에도 자가 거주보다 임차(52.9%)를 한 비율이 더 높았다. 무상은 3.5%였다.
신혼부부의 최저주거기준 미달 가구 비율은 1.9%로 일반가구(3.9%)보다 낮은 편이나, 평균 가구원수가 많아 1인당 주거면적은 일반가구(34.8㎡)보다 좁은 26.6㎡였다.
가구주의 연령이 만 19~34세인 청년 가구는 자가 거주가 13.2%에 그쳤다. 무상은 4.3%였다. 아파트 거주 비율(31.3%)이 단독주택보다 낮았으며 다세대는 11.2%였다.
청년 가구의 최저주거기준 미달 가구 비율은 8.0%로 신혼부부의 4배를 넘었다. 다만 1인당 주거면적은 30.4㎡로 신혼부부보다 넓었다.
가구주 연령이 만 65세 이상인 고령 가구는 75.0%가 자가에 거주했다. 이어 임차(19.8%), 무상(5.2%) 순이었다.
고령 가구는 아파트(44.7%) 거주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단독주택(41.7%), 다세대(7.8%)가 뒤를 이었다.
20일 오전 서울 중구 소월로 인근 주택과 남산에 눈이 쌓여있다. 2023.12.20 연합뉴스
‘가장 필요한 주거지원’을 묻는 질문에 신혼부부는 ‘주택 구입자금 대출지원’(49.1%)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전세자금 대출지원’(30.4%), ‘장기 공공임대 주택 공급’(5.3%) 순이었다.
청년 가구는 ‘전세자금 대출지원’(38.3%)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월세보조금 지원’(22.1%), ‘주택 구입자금 대출지원’(20.3%)이 뒤를 이었다.
고령 가구는 ‘주택 구입자금 대출지원’(26.9%)에 이어 ‘주택 개량·개보수 지원’(23.2%) 응답이 많은 점이 눈길을 끌었다. ‘장기 공공임대주택 공급’은 17.1%이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