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당 쌀 소비량 하루 ‘밥 한 공기 반’
1970년 이후 41% 수준으로 줄어
한국인 10명 중 셋은 아침 안 먹어
지자체·대학 등 ‘전국민 아침 먹기’ 확산최근 농협 직원들은 매일 아침 일찍 출근해 회사에서 아침을 챙겨 먹는다. 농협 본부에서는 직원들에게 아침 식사를 1000원에 제공하고, ‘아침먹는 날’을 정해 놓은 곳도 있다. 지난달부터 농협 전 계열사와 지역사무소가 동참한 농협의 ‘아침밥 먹기’ 운동이다.
농협의 아침밥 먹기 운동은 지역자치단체와 유관기관, 계열사의 협력 업체, 대학 등으로 확산하고 있다. 14일 농협에 따르면, 농협은 올해 예산 330억원을 들여 ‘범국민 아침밥 먹기’ 운동을 진행중이다.
농협의 16개 광역시·도 지역본부는 지자체 및 유관기관 임직원 100만명을 대상으로 농협이 쌀을 무상 또는 할인 지원하면 해당 기관이 비용을 추가 부담해 아침밥을 제공하는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농협 본부 및 계열사는 협력 기관과 연계해 직원 30만명을 대상으로 아침밥 먹기를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정부에서도 지난해부터 186개 대학이 참여하는 ‘천원의 아침밥’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농협이 이처럼 전국민 아침밥 먹기 운동에 대대적으로 나선 것은 쌀이 주식인 우리나라에서 쌀 소비량이 급격히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지난해 기준 56.4㎏으로, 통계로 확인되는 1963년 이후 가장 적었다. 한 사람이 하루에 먹은 쌀은 154.5g으로, 보통 밥 한공기를 짓는 데 쌀 100g이 들어간다고 계산했을 때 하루 한 공기 반 정도 먹은 셈이다. 쌀 소비량이 가장 높았던 1970년(1인당 연간 136.4㎏)과 비교하면 41%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쌀 소비가 줄어든 데에는 삼시세끼 집에서 밥을 먹던 데에서 벗어나 외식 문화가 발달하면서 곡물 외 다양한 음식을 섭취하게 된 것도 있지만, 최근에는 아침식사를 거르는 직장인과 학생들이 늘어난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질병관리청이 2022년 조사한 아침식사 결식률을 보면 남자 35.2%, 여자 32.8%로 10명 중 3명 이상이 아침을 안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남자 25.1%, 여자 22.6%)보다 아침 안 먹는 사람이 10% 포인트나 늘어난 것이다. 특히 10대(33.1%)와 20대(59.2%), 30대(48.5%)에서 아침을 안 먹는 사람이 많았다.
농협은 이처럼 아침을 거르는 직장인과 대학생들에게 아침밥 먹기 운동을 통해 건강한 식습관을 확산하고, 동시에 쌀 소비량을 늘려 쌀값 불안에 따른 농업인의 어려운도 해결하겠다는 계획이다.
농협 관계자는 “아침을 먹지 않는 직원들이 많았는데 회사에서 아침을 든든하게 먹을 수 있어 직원들의 호응도 좋다”고 말했다.
1970년 이후 41% 수준으로 줄어
한국인 10명 중 셋은 아침 안 먹어
지자체·대학 등 ‘전국민 아침 먹기’ 확산최근 농협 직원들은 매일 아침 일찍 출근해 회사에서 아침을 챙겨 먹는다. 농협 본부에서는 직원들에게 아침 식사를 1000원에 제공하고, ‘아침먹는 날’을 정해 놓은 곳도 있다. 지난달부터 농협 전 계열사와 지역사무소가 동참한 농협의 ‘아침밥 먹기’ 운동이다.
농협의 아침밥 먹기 운동은 지역자치단체와 유관기관, 계열사의 협력 업체, 대학 등으로 확산하고 있다. 14일 농협에 따르면, 농협은 올해 예산 330억원을 들여 ‘범국민 아침밥 먹기’ 운동을 진행중이다.
농협중앙회 지준섭 부회장과 임직원들이 지난달 7일 구내식당에서 같이 아침밥을 먹고 있다. 농협중앙회 제공
농협의 16개 광역시·도 지역본부는 지자체 및 유관기관 임직원 100만명을 대상으로 농협이 쌀을 무상 또는 할인 지원하면 해당 기관이 비용을 추가 부담해 아침밥을 제공하는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농협 본부 및 계열사는 협력 기관과 연계해 직원 30만명을 대상으로 아침밥 먹기를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정부에서도 지난해부터 186개 대학이 참여하는 ‘천원의 아침밥’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농협이 이처럼 전국민 아침밥 먹기 운동에 대대적으로 나선 것은 쌀이 주식인 우리나라에서 쌀 소비량이 급격히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지난해 기준 56.4㎏으로, 통계로 확인되는 1963년 이후 가장 적었다. 한 사람이 하루에 먹은 쌀은 154.5g으로, 보통 밥 한공기를 짓는 데 쌀 100g이 들어간다고 계산했을 때 하루 한 공기 반 정도 먹은 셈이다. 쌀 소비량이 가장 높았던 1970년(1인당 연간 136.4㎏)과 비교하면 41%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쌀 소비가 줄어든 데에는 삼시세끼 집에서 밥을 먹던 데에서 벗어나 외식 문화가 발달하면서 곡물 외 다양한 음식을 섭취하게 된 것도 있지만, 최근에는 아침식사를 거르는 직장인과 학생들이 늘어난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질병관리청이 2022년 조사한 아침식사 결식률을 보면 남자 35.2%, 여자 32.8%로 10명 중 3명 이상이 아침을 안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남자 25.1%, 여자 22.6%)보다 아침 안 먹는 사람이 10% 포인트나 늘어난 것이다. 특히 10대(33.1%)와 20대(59.2%), 30대(48.5%)에서 아침을 안 먹는 사람이 많았다.
서울 종로구의 한 식당에서 한 시민이 식사를 하는 모습. 2024.8.26 뉴스1
농협은 이처럼 아침을 거르는 직장인과 대학생들에게 아침밥 먹기 운동을 통해 건강한 식습관을 확산하고, 동시에 쌀 소비량을 늘려 쌀값 불안에 따른 농업인의 어려운도 해결하겠다는 계획이다.
농협 관계자는 “아침을 먹지 않는 직원들이 많았는데 회사에서 아침을 든든하게 먹을 수 있어 직원들의 호응도 좋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