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질 국내총생산 0.2% 감소
설비투자·건설투자 모두 뒷걸음질1분기 ‘깜짝 성장’ 기저효과도 영향
금리 완화 시점 ‘성장률 둔화’ 변수
2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2분기 실질 GDP 성장률(속보치)은 전 분기 대비 -0.2%로 집계됐다. 분기 기준 역성장은 2022년 4분기 -0.5%를 기록한 이후 1년 6개월 만이다. 다만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선 2.3% 증가했다. 올해 상반기 성장률은 지난해에 비해 2.8%를 기록했는데 2022년 상반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지난해 2분기에 비해 2%가 넘는 성장률을 기록했음에도 직전 분기 대비 역성장을 기록한 것은 1분기 ‘깜짝 성장’의 영향이 크다. 지난 1분기 실질 GDP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3%, 직전 분기 대비 1.3% 성장하며 기대치를 웃돌았다.
수출이 늘었지만 더 큰 폭으로 수입이 늘어난 것이 영향을 미쳤다. 자동차와 화학제품 등을 중심으로 수출은 직전 분기 대비 0.9% 늘었다. 하지만 수입 역시 원유와 석유제품 등을 중심으로 1.2% 늘면서 순수출 성장기여도는 -0.1%로 집계됐다.
민간소비와 설비투자, 건설투자도 뒷걸음질치면서 성장률을 끌어내리는 데 일조했다. 민간소비는 서비스 부문에서의 소비가 다소 늘었지만 재화 소비가 부진하면서 0.2% 감소했다. 설비투자 역시 2.1% 줄었다. 지난 1분기 3.3% 깜짝 성장했던 건설투자 부문은 주거용 건물건설과 토목건설 모두 투자가 줄면서 1.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준금리 인하 시점에 대한 한은의 고민은 더욱 깊어질 전망이다. 물가 안정세, 대출 연체율 상승 등으로 인해 금리 인하를 촉구하는 목소리와 가계부채 상승을 부추길 것이란 지적이 맞서는 가운데 ‘성장률 둔화’가 새로운 변수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미국의 9월 기준금리 인하가 시장에서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면서 한은도 기준금리 인하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졌다. 여기에 더해 주요 경제지표가 인플레이션 둔화 조짐을 보였고 자영업자들을 중심으로 대출 연체율이 치솟으면서 금리 인하 목소리는 더욱 힘을 얻는 모습이다.
하지만 가계부채가 발목을 잡는다. 5대 은행의 가계대출은 6월 한 달 동안에만 5조 3000억원 이상 급증하며 2년 11개월 만에 최고 수준의 증가폭을 기록했고 7월에도 4조원 가까이 증가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 11일 금융통화위원회 이후 “수도권 부동산, 가계부채 등 위험 요인이 많아 방향 전환(금리 인하) 시점은 아직 불확실하고 상당한 시간이 걸릴 수도 있다”며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는 뜻을 에둘러 전한 바 있다.
2024-07-26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