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 빈 K방산’ 핵심소재 79% 해외 수입 의존

‘속 빈 K방산’ 핵심소재 79% 해외 수입 의존

이정수 기자
이정수 기자
입력 2024-05-09 07:33
수정 2024-05-09 07: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이미지 확대
K방산이 미래 먹거리로 부상하고 있지만, 정작 첨단무기 생산에 필수적인 핵심 소재는 수입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방산의 위상을 지키려면 소재 분야의 자립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산업연구원은 8일 ‘국방 핵심 소재 자립화 실태 분석 및 공급망 강화방안’ 보고서에서 2022년 기준 국방 핵심 소재 10종의 총 조달금액 8473억원 중 78.9%(6684억원)를 수입에 의존했다고 밝혔다.

마그네슘합금과 내열합금의 수입의존도는 100%였다. 타이타늄합금과 니켈·코발트 등은 99.8%, 알루미늄 합금은 94.9%였다. 비금속 소재인 세라믹과 복합소재도 각각 51.3%와 47.4%를 수입에 의존했다.

핵심 소재 10종을 어느 국가에서 조달하는지 조사한 결과에선 타이타늄합금과 내열합금은 각각 95%와 90%를 미국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라믹은 일본(60%) 의존도가 높았다. 복합소재(26.7%)와 세라믹(13.3%)은 요소수 사태에서 보듯 잦은 공급망 리스크를 일으키는 중국 의존도가 높았다.

국방 핵심 소재의 글로벌 공급망 불안정성에 대해 국내 방산기업 및 소재전문 기업 대부분은 별도 대응 계획을 마련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 차원에서 추진 중인 대응 방안은 ‘국방 핵심 소재 공급 기업 다변화’(10.5%), ‘자체 비축 물량 확대’(7.9%), ‘기술혁신을 통한 대체·저감’(5.3%) 순이었다. ‘수입국 다변화와 해외조달원의 국내 전환’은 2.6%에 그쳤다.

장원준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공급망 강화 측면에서 적극적이고 혁신적인 정책 마련이 요구된다”며 “방산 부품과 같은 수준으로 방산 소재 개념을 재정립하고 국방 핵심 소재 개발과 생산 확대, 인증체계 마련 등 전주기 차원의 소재 자립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8월부터 11월까지 실시했으며 국내 방산업체, 소재전문기업, 국방 소재 분야 전문가 등이 응답했다.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의대 증원 논쟁 당신의 생각은? 
의료공백이 장기화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의정 갈등 중재안으로 정부에 2026년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자고 제안했습니다. 그러나 대통령실은 “의사 증원을 하지 말자는 얘기와 같다. 현실성이 없는 주장”이라며 거부 의사를 명확히 했습니다.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의료시스템 붕괴를 막기 위해 당장 2025년 의대 증원부터 유예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예정대로 매년 증원해야 한다
2025년부터 증원을 유예해야 한다
2026년부터 증원을 유예해야 한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