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 사회’ 진입 1년 빨라졌다
가구주 평균나이 50.8세→51.3세‘전국에서 가장 늙은 지역’은 전남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사상 처음으로 14세 이하 유소년 인구를 추월한 가운데 노인들이 건강을 지키기 위한 체조를 하고 있다.
서울신문 DB
서울신문 DB
통계청이 31일 내놓은 ‘2016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는 ‘너무 빨리 늙고 홀로 되어가는 대한민국’의 단면을 여실히 보여 준다. 1인 가구주 가운데 70세 이상 비중이 17.8%로 가장 높았다. 이어 30대(17.6%), 20대(17.2%) 순서였다. 전년에는 30대 비중이 가장 높았다. 전체 인구구조뿐 아니라 1인 가구주에서도 노년층 역전 현상이 처음 일어난 것이다. 전체 가구주 평균 나이도 2015년 50.8세에서 2016년 51.3세로 0.5살 올라갔다.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인구 비중은 13.6%로 ‘고령 사회’ 진입도 초읽기에 들어갔다. 고령 인구 비중이 7%를 넘으면 고령화 사회, 14%를 넘으면 고령 사회로 분류된다.
전국에서 가장 늙은 지역은 전남이었다.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1.3%로 이미 초고령 사회(기준 20%)에 진입했다. 고령 사회에 들어간 곳도 전북(18.4%), 경북(18.2%), 강원(17.2%), 충남(16.5%), 부산(15.4%) 등 8곳이다.
지난해 11월 1일 기준으로 65세 이상 고령자가 있는 가구는 507만 2000가구로 일반 가구의 26.2%다. 전년보다 2.9% 증가했다.
반면 저출산 영향으로 인해 미성년 자녀가 있는 가구는 557만 3000가구, 영유아 자녀가 있는 가구는 205만 6000가구로 1년 전보다 각각 2.2%, 1.0% 줄었다. 100세 이상 인구는 3486명으로 전년보다 327명(10.4%) 늘어났다.
혼자 사는 1인 가구는 가장 흔한 가구 형태로 자리잡았다. 전체 가구의 27.9%인 539만 8000가구가 1인 가구였다. 1년 전과 비교하면 0.7% 포인트 증가했다. 주된 가구 유형은 2005년 조사 때까지 4인 가구였지만 2010년에는 2인 가구, 2015년부터는 1인 가구로 바뀌었다. 1995년 12.7%에 불과했던 1인 가구는 이제 30%에 육박하고 있다. 평균 가구원 수도 2.51명으로 전년보다 0.02명 줄었다.
1인 가구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강원(32.1%)이었고 가장 낮은 곳은 경기(23.8%)였다. 1년 사이 1인 가구 증가율이 가장 높았던 곳은 세종·충북(1.5% 포인트)이었다. 여성 가구주 비율은 30.0%로 전년보다 0.4% 포인트 증가했다. 다문화 가구도 꾸준히 증가해 지난해 31만 6000가구를 기록, 처음으로 30만 가구를 넘어섰다.
세종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2017-09-01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