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제주 2곳 빼고 다 뚫렸다
40일 만에 2600만 마리 살처분국내 전체 가금류의 16% 해당
제빵·제과·육가공업 피해 급증
‘제2의 대만 구제역’ 사태 우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면서 ‘제2의 대만 구제역’ 사태로 비화되는 것 아니냐는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먼저 나타난 H5N6형 바이러스의 전파 속도가 수그러들지 않고 있는 가운데 2014~2015년 국내에 막대한 피해를 안겼던 H5N8형 바이러스까지 나타나 점차 감염 지역을 넓혀 가고 있다.
26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 24일 의심 신고가 접수된 경남 양산시의 산란계(알 낳는 닭) 농가는 AI로 확진 판정을 받았다. 경남 최대의 산란계 사육지인 양산시가 결국 뚫리고 만 것이다. 전날에는 고성군의 육용오리 농장에서도 의심 신고가 접수됐다. 경남에서 본격적으로 AI가 창궐하는 모습이다. 이제 전국 도 단위에서 AI가 발생하지 않은 곳은 경북과 제주 2곳뿐이다.
AI 확산에 따른 피해 규모는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다. 지난달 16일 전남 해남 농가에서 첫 의심 신고가 접수된 지 40일 만에 국내 전체 가금류의 15.8%인 2614만 마리가 도살됐거나 살처분이 진행되고 있다. 제빵·제과, 육가공을 비롯한 관련 산업 피해도 급증하고 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이미 직·간접 피해 규모가 7000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런 추세가 이어져 전체 가금류의 30%가 살처분되면 피해액은 1조 5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문제는 AI 감염 경로가 겨울 철새로 확인되면서 해마다 반복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이럴 경우 양계산업의 기반뿐 아니라 관련 가공산업도 흔들릴 수 있다. 육계협회 관계자는 “해마다 AI가 발생한다면 오리의 경우 일본처럼 사육 기반을 없애고 수입하는 것이 낫다”고 말했다.
김경두 기자 golders@seoul.co.kr
박재홍 기자 maeno@seoul.co.kr
2016-12-27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