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블로그] 국민은행, 준정년특별퇴직 연례화

경제블로그] 국민은행, 준정년특별퇴직 연례화

이유미 기자
입력 2016-01-21 17:59
수정 2016-01-21 17: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난해 연말 금융권에서는 대규모 인력 구조조정 칼바람이 불었습니다. 저금리 여파와 금융당국의 개혁 압박 등을 이유로 은행권도 직원들을 대거 내보냈죠.

은행권 중 유달리 인력적체가 심했던 국민은행은 지난해 상·하반기 두 차례 희망퇴직을 실시했습니다. 5월에 1122명, 12월에 171명이 각각 짐을 쌌습니다. 그런데 이 두 차례 희망퇴직의 성격은 조금 다릅니다.

상반기 희망퇴직은 임금피크제 적용 직원은 물론 일반 직원들이 모두 대상이었습니다. 앞서 강정원 행장 시절이던 2009년(2200명)과 민병덕 행장 시절인 2011년(3200명)의 희망퇴직과 맥을 같이합니다. 반면 지난해 연말 희망퇴직은 ‘준정년특별퇴직’입니다. 준정년특별퇴직이란 사실상 정년을 앞둔 직원들, 즉 임금피크제 적용(만 55세)을 앞둔 직원들에게 해마다 희망퇴직 기회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군살빼기를 위해 비정기적으로 실시하는 대규모 희망퇴직과는 결이 다릅니다. 구조조정이 연례화됐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국민은행은 2008년 1월 노사합의로 준정년특별퇴직제도를 도입했습니다. 하지만 2008년 12월과 2012년 1월을 제외하곤 실행된 적이 거의 없습니다. 외부 출신 회장들이 잇따라 오면서 ‘민심’을 의식해 인력 퇴출을 꺼렸던 탓이죠. 짧은 임기(3년) 중에 성과를 보여줘야 하니 거액의 비용(퇴직위로금)이 들어가는 인력 구조조정을 섣불리 단행하기도 선뜻 내키지 않았을 겁니다. 그러다 내부 출신으로는 사실상 첫 최고경영자인 윤종규 KB금융 회장 겸 국민은행장이 지난해 5월 노사 합의를 통해 준정년특별퇴직제도를 부활시켰습니다.

지난해 말 은행을 떠난 171명에게는 총 420억원의 위로금이 지급됐습니다. 은행 입장에서는 적지 않은 비용이지만 윤 회장은 ‘미래를 위한 투자 비용’이라고 말합니다. 국민은행은 탄탄한 소매금융 인프라를 갖추고도 비효율적인 인력구조 탓에 직원 1인당 생산성은 번번이 경쟁 은행에 뒤처졌습니다. 뼈를 깎는 심정으로 조직 슬림화에 손을 맞잡은 국민은행 노사의 결단이 앞으로 어떤 결실을 볼지 지켜볼 일입니다.

이유미 기자 yiu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