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과 발전 6개사는 어떤 관계
한국전력이 100% 출자한 한국수력원자력, 남동·남부·동서·서부·중부 등 6개 발전회사는 2001년 정부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 분리시켰지만 여전히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매출 구조에서 기인한다.발전회사들이 화력, 수력, 원자력 등을 이용해 실제 전기를 개발, 생산하는 ‘공장’이라면 한전은 이들이 생산한 전기를 전력거래소를 통해 입찰을 거쳐 사들이는 ‘유통업체’ 역할을 한다. 한전은 사들인 전기를 국민, 기업 등 소비자가 필요한 곳에 되팔고 전기 요금을 받는다. 발전사에 영업처장이 없는 이유다.
한전의 지난해 자산 163조원에는 발전 6개사들의 자산이 연결재무제표를 통해 합산, 집계된다. 한수원이 49조원이며 화력이 핵심인 5개 발전사 가운데 자산 1위는 남동발전(9조 200억원)이다. 이어 남부발전(8조 7300억원), 동서발전(8조 4100억원), 서부발전(8조 2200억원), 중부발전(7조 2200억원) 순이다.
14년 전 정부가 전력사업구조개편을 진행할 당시 경쟁을 통한 원가 하락 등 발전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민영화 작업이 본격 진행됐었지만 전기라는 공공재의 특성과 발전노조의 반발, 공론화 부족 등으로 민영화까지 나아가지 못했다. 하지만 인사·조직 운영은 물론 정부 경영평가도 2011년 시장형 공기업으로 지정되면서부터 따로 받고 있다. 평가 항목에는 누가 연료를 더 싸게 사느냐, 누가 더 저렴한 비용으로 많은 에너지를 생산하느냐 등의 지표가 있어 실제 경쟁 체제 도입을 통한 효율화, 투명성이 개선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해외 발전소 건설 수주를 통한 자체 수익 창출에 나서는 것도 달라진 점이다. 한 발전사 관계사는 “경쟁 체제가 도입되지 않았더라면 원가를 낮추는 노력에 덜 신경 썼을 것”이라며 “지금은 공익성과 수익성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직원들이 부단히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력 주무부처 이원주 산업통상자원부 전력산업과장은 18일 “당분간 현 체제에서 발전사 민영화 등의 계획은 없다”고 강조했다. 발전사 일각에서는 ‘재주(전기 생산)는 곰(발전사)이 넘고 돈(전기요금)은 한전이 챙긴다’는 볼멘소리도 나오지만 한전 측은 “민원 업무에 대한 고충을 모르고 하는 소리”라고 일축했다.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2015-11-19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