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적인 원화 자산인 한국 주식과 채권의 투자 매력도가 신흥국 중에서 최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증시는 밸류에이션(평가가치) 상으로 세계에서 가장 저평가된 것으로 분석됐고, 국채도 신용등급이 같은 국가들보다 금리 수준이 높아 투자자들을 끌어들일 요인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7일 동부증권에 따르면 지난 3일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기준으로 한국 증시의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12MF PER)은 8.8배다.
한국의 12MF PER는 비교 대상 23개국 중에서 러시아(5.1배)를 제외하면 선진국, 신흥국을 통틀어 가장 낮았다.
전체 국가 평균은 12.0배, 신흥국 평균은 10.3배였다. 미국은 13.0배, 영국은 10.7배, 중국은 9.3배, 일본은 11.3배, 인도는 13.9배, 말레이시아는 14.0배로 한국 증시의 매력이 상대적으로 컸다.
12MF PER은 주가를 12개월 후 예상되는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것으로 수치가 낮으면 낮을수록 주가가 저평가되어 있다는 뜻이다.
기업의 실적을 가늠해볼 수 있는 주당순이익(EPS) 성장률도 한국은 최고 수준이다.
한국의 12MF EPS 성장률은 20.8%로 중국 7.4%, 홍콩 4.6%, 인도 12.1%, 필리핀 12.3%, 미국 10.2%, 프랑스 7.7%, 영국 5.8%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일본(37.6%)에는 뒤졌지만 일본 기업은 작년에 극도의 실적 악화를 격은 후 올해 개선세를 나타내고 있어 기저효과로 보는 편이 타당하다.
국가 신용등급이 같은 국가들끼리의 비교에서도 한국 증시의 경쟁력은 우월했다.
무디스 기준으로 Aa 등급에 속한 나라 10개 가운데 실적평가 전문기관 IBES가 분석 대상으로 삼은 7개국 중 한국의 12MF PER은 8.7배로 가장 낮았다.
칠레는 15.3배, 대만은 14.9배, 홍콩은 14.5배, 벨기에는 13.7배, 일본은 11.5배, 남아공은 11.5배, 중국은 8.9배 순이었다.
증시와 더불어 한국 국채도 국가 신용등급이 상승한 이후 투자 매력이 커졌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신용등급이 같은 주요 국가들의 10년물 국채금리를 살펴본 결과, 상대적으로 한국의 금리 수준이 높았다.
4일 기준 S&P ‘AA-’급 국가별 국채10년물 금리는 대만이 연 1.19%, 일본이 연 0.78%, 체코는 연 2.32%, 중국은 연 3.45%다. 한국은 연 2.95%로 중국을 제외하고 금리 수준이 가장 높다. 다만, 중국은 자본통제가 심해 금리가 높아도 매력도가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 2013년 말 환율을 예상해 주요국 채권 매입 시 앞으로의 기대수익률을 산출한 결과, 최근 한국의 채권 매력도는 소폭 올랐다.
3일 기준 한국과 대만, 홍콩, 중국, 일본, 미국 등 44개국의 기대수익률을 살펴본 결과 한국은 2.52%였다. 9월 3일 기준은 2.36%로 한 달 새 기대수익률이 0.16%포인트 높아졌다.
대만은 0.78%, 홍콩은 -0.20%, 중국은 2.03%, 일본은 -5.45%, 미국은 1.61%였다.
이에 따른 아시아 국가 대비 원화의 상대매력도는 올해 7월 2일 0.90%에서 10월 3일 1.13%으로 점점 올라가고 있다.
연합뉴스
증시는 밸류에이션(평가가치) 상으로 세계에서 가장 저평가된 것으로 분석됐고, 국채도 신용등급이 같은 국가들보다 금리 수준이 높아 투자자들을 끌어들일 요인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7일 동부증권에 따르면 지난 3일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기준으로 한국 증시의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12MF PER)은 8.8배다.
한국의 12MF PER는 비교 대상 23개국 중에서 러시아(5.1배)를 제외하면 선진국, 신흥국을 통틀어 가장 낮았다.
전체 국가 평균은 12.0배, 신흥국 평균은 10.3배였다. 미국은 13.0배, 영국은 10.7배, 중국은 9.3배, 일본은 11.3배, 인도는 13.9배, 말레이시아는 14.0배로 한국 증시의 매력이 상대적으로 컸다.
12MF PER은 주가를 12개월 후 예상되는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것으로 수치가 낮으면 낮을수록 주가가 저평가되어 있다는 뜻이다.
기업의 실적을 가늠해볼 수 있는 주당순이익(EPS) 성장률도 한국은 최고 수준이다.
한국의 12MF EPS 성장률은 20.8%로 중국 7.4%, 홍콩 4.6%, 인도 12.1%, 필리핀 12.3%, 미국 10.2%, 프랑스 7.7%, 영국 5.8%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일본(37.6%)에는 뒤졌지만 일본 기업은 작년에 극도의 실적 악화를 격은 후 올해 개선세를 나타내고 있어 기저효과로 보는 편이 타당하다.
국가 신용등급이 같은 국가들끼리의 비교에서도 한국 증시의 경쟁력은 우월했다.
무디스 기준으로 Aa 등급에 속한 나라 10개 가운데 실적평가 전문기관 IBES가 분석 대상으로 삼은 7개국 중 한국의 12MF PER은 8.7배로 가장 낮았다.
칠레는 15.3배, 대만은 14.9배, 홍콩은 14.5배, 벨기에는 13.7배, 일본은 11.5배, 남아공은 11.5배, 중국은 8.9배 순이었다.
증시와 더불어 한국 국채도 국가 신용등급이 상승한 이후 투자 매력이 커졌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신용등급이 같은 주요 국가들의 10년물 국채금리를 살펴본 결과, 상대적으로 한국의 금리 수준이 높았다.
4일 기준 S&P ‘AA-’급 국가별 국채10년물 금리는 대만이 연 1.19%, 일본이 연 0.78%, 체코는 연 2.32%, 중국은 연 3.45%다. 한국은 연 2.95%로 중국을 제외하고 금리 수준이 가장 높다. 다만, 중국은 자본통제가 심해 금리가 높아도 매력도가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 2013년 말 환율을 예상해 주요국 채권 매입 시 앞으로의 기대수익률을 산출한 결과, 최근 한국의 채권 매력도는 소폭 올랐다.
3일 기준 한국과 대만, 홍콩, 중국, 일본, 미국 등 44개국의 기대수익률을 살펴본 결과 한국은 2.52%였다. 9월 3일 기준은 2.36%로 한 달 새 기대수익률이 0.16%포인트 높아졌다.
대만은 0.78%, 홍콩은 -0.20%, 중국은 2.03%, 일본은 -5.45%, 미국은 1.61%였다.
이에 따른 아시아 국가 대비 원화의 상대매력도는 올해 7월 2일 0.90%에서 10월 3일 1.13%으로 점점 올라가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