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OECD국가중 담뱃값 가장 싸… 흡연율은 2위

한국, OECD국가중 담뱃값 가장 싸… 흡연율은 2위

입력 2012-09-10 00:00
수정 2012-09-10 09: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담배가 빅맥보다 싼 나라 한국과 일본 뿐

우리나라의 담배 가격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소속 국가들 가운데 가장 싼 반면 흡연율은 선두를 다투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유럽연합(EU)산하 담배규제위원회가 OECD 22개국의 현재 담배가격(가장 많이 팔리는 제품)을 조사한 결과 우리나라가 2천500원으로 가장 저렴했다.

아일랜드가 우리나라의 6배인 1만4천975원으로 가장 비쌌고, 이어 영국(4.6배, 1만1천525원), 프랑스(3.8배, 9천400원), 독일(3.6배, 8천875원), 네덜란드(3.4배, 8천400원), 스웨덴(3.3배, 8천200원), 벨기에(3.3배, 8천200원), 덴마크(3.14배, 7천850원), 핀란드(3.12배, 7천800원) 등의 순이었다.

하위권 나라들은 우리나라를 비롯해 폴란드(1.3배, 3천175원), 일본(1.4배, 3천575원), 슬로바키아(1.49배, 3천725원), 헝가리(1.5배, 3천750원) 등이었다.

우리나라 담뱃값이 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싸다는 결과는 세계보건기구(WHO) 보건통계수집국(Global Health Observatory) 조사(2010년)에서도 마찬가지였다.

OECD 34개국 가운데 담배가 가장 싼 나라는 한국(2천500원)이었고, 멕시코(2천808원), 폴란드(3천69원), 에스토니아(3천152원), 헝가리(3천318원)가 그 뒤를 이었다.

담배가격 수준이 높은 상위 5위권에는 노르웨이(1만5천758원), 아일랜드(1만3천199원), 오스트레일리아(1만2천761원), 영국(1만1천611원), 뉴질랜드(9천704원)가 포함됐다.

물가를 고려해도 우리나라의 담뱃값은 상대적으로 매우 저렴한 수준이었다.

’더 이코노미스트(The Economist)’의 2010년 기준 세계 빅맥 가격 통계에 조사값이 존재하는 OECD 9개국 가운데 담배가 빅맥보다 싼 나라는 한국(담배 2.11달러, 빅맥 2.82달러)과 일본(3.47달러, 3.67달러) 뿐이었다.

오스트레일리아의 경우 담뱃값(10.77달러)이 빅맥(3.84달러)의 거의 세 배, 노르웨이도 담배(13.3달러)가 빅맥(7.2달러)의 약 두 배에 이르렀다.

반면 담뱃값과 대조적으로 흡연율에서는 우리나라가 세계 최고 수준이었다.

OECD 흡연율 통계(15세이상 성인남성, 2009년)에 따르면 우리나라(44.3%)는 OECD 34개 나라 가운데 그리스(46.3%)에 이어 두 번째로 흡연율이 높았다.

스웨덴(13.5%)의 흡연율이 가장 낮았고 아이슬란드(15.9%), 미국(17.9%), 오스트레일리아(18.0%), 캐나다(18.2%), 뉴질랜드(19.3%), 노르웨이(21.0%) 등 대부분 담배값이 비싼 나라들이 흡연율 하위권에 속했다.

보건당국은 이처럼 세계적으로 높은 우리나라 흡연율을 낮추기 위해 어느 정도 담뱃값을 올릴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임종규 복지부 건강정책국장은 “흡연 억제 효과가 가장 큰 정책은 가격 인상”이라며 “특히 고3 남학생과 여학생의 흡연율이 각각 25%, 8%에 이르는 현실에서 담뱃값 인상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당초 복지부는 오는 10일 입법예고될 국민건강증진법 개정안에 담뱃갑 경고그림 삽입 등 비가격 정책과 함께 담뱃값 인상안도 함께 담을 예정이었으나 기획재정부 등과의 협의 과정에서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복지부는 앞으로 개정안에 대한 여론 수렴과 국회내 입법 과정에서라도 가격 인상이 반영되도록 지속적으로 국민과 관련부처, 국회를 설득할 방침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