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공행상 부재속 ‘박근혜 정권’ 창업공신 향방은

논공행상 부재속 ‘박근혜 정권’ 창업공신 향방은

입력 2012-12-26 00:00
수정 2012-12-26 11: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朴당선인 ‘전문성’ 인선원칙 천명에 측근 요직중용 깨지나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첫 인사가 임박하면서 ‘창업공신’들의 거취가 주목된다.

대선 기간 ‘무더기 임명장’ 논란이 인 것처럼 박 당선인 선거캠프가 ‘매머드급’으로 꾸려졌지만,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및 새 정부에 정치권 인사들이 참여할 수 있는 자리는 한정돼 있다.

특히 박 당선인이 전문성을 제1의 인선 원칙으로 천명하고 ‘낙하산 인사’에 강한 거부감을 밝히면서 박 당선인 핵심 참모ㆍ측근들의 ‘요직 중용’이라는 관측이 깨질 가능성도 점쳐진다.

실제 박 당선인의 첫 인선인 비서실장과 대변인단 인사에서 ‘전문가 중용’ 의 원칙이 적용됐다는 평이다.

예상을 깨고 비서실장과 3명의 대변인에 친박(친박근혜)계와 자신의 정치적 텃밭인 영남 출신 인사가 전무했던 것. 이를 지켜본 핵심 친박계 인사들은 새 정권출범에 참여할 것이냐는 언론의 질문에 “이름도 거론하지 말아달라”며 한사코 손사래를 치는 모습이다.

다만 박 당선인으로서 ‘인재 풀’에 한계가 있을 수 있고 국정에 첫발을 내딛는 상황에서 호흡을 맞출 참모진이 절실하다는 점에서 친박(친박근혜)을 중심으로 한 일부 측근의 발탁도 예상할 수 있다.

◇ 창업공신은 누구 = 박근혜 정부 탄생의 ‘창업공신’은 이른바 친박계 인사들을 비롯한 실세그룹과 분야별로 독보적 역할을 해온 전문가그룹, 물밑에서 활동해온 실무그룹 등에 포진해 있다.

후보 비서실장을 지낸 3선의 최경환 의원과 함께 4선 의원 출신인 김무성 총괄선대본부장, 3선 의원을 지낸 권영세 종합상황실장 등 선대위 핵심 인사들이 실세그룹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에는 서병수(4선) 사무총장, 유정복 직능본부장과 홍문종 조직본부장(이상 3선), 이학재 후보 비서실장과 윤상현 수행단장(이상 재선), 이정현 공보단장 등도 포함된다.

또한 전문가그룹으로는 김종인 국민행복추진위원장과 안대희 정치쇄신위원장을 양 축으로, 박 당선인의 ‘싱크탱크’인 국가미래연구원의 김광두 원장, 최외출 캠프 기획조정특보, 정책통인 안종범ㆍ강석훈 의원, 대변인단의 조해진 의원과 안형환ㆍ정옥임 전 의원 등이 꼽힌다.

실무그룹으로서 박 당선인의 ‘유력 인재풀’로는 캠프 종합상황실에서 손발을 맞춘 권영진 전략조정단장과 서장은 부실장, 신동철 여론조사단장과 함께 박 당선인의 보좌진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이 새 정부에 어떤 형식으로든 참여할 것이라는 예상이 가능하다.

한때 ‘막후 실세’ 논란에 직면했던 최경환 의원의 경우 인수위 부위원장을 비롯해 새정부 첫 경제수장, 차기 새누리당 원내대표 등 여권의 주요 요직 후보군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또한 김무성 총괄선대본부장의 경우 앞으로 치러질 국회의원 재ㆍ보선에 출마, 여의도에 재입성할 가능성이 제기되며, 권영세 실장을 놓고는 초대 대통령 비서실장 등의 하마평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박 당선인이 ‘전문성’ 등 일부 인선 원칙만 밝혔을 뿐 ‘깜깜이 인선’을 진행 중이라는 점에서 이들 창업공신의 역할이 새 정부에서도 이어질지 여부를 단언키는 쉽지 않다.

또한 핵심 인사들의 신분이 현역 의원과 전직 의원으로 나뉘고, 일부는 ‘임명직을 맡지 않겠다’며 박근혜 정부의 성공을 위한 백의종군을 선언했다는 점 등이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와 맞물려 새누리당 일각에서는 이명박정부의 과오를 되풀이 하지 않기 위해서는 친박계 의원들을 비롯한 핵심 인사들의 ‘2선 후퇴’가 불필요하다는 압박도 적지 않다.

지난 5년 전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 시절, 새 정부 출범과 함께 2008년 총선도 앞두고 있었다는 점에서 당선인 핵심 참모들은 국회직이냐, 정부ㆍ청와대직이냐를 놓고 선택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번에는 총선 직후 치러진 대선이라는 점에서 창업공신들의 정부ㆍ청와대행(行)만 결정되는 상황이다. 이는 역으로 창업공신들에 대한 논공행상 여부에 스포트라이트가 맞춰질 수 있는 상황이기도 하다.

◇ 몸낮추는 창업공신들 = 박 당선인의 의중에 관심이 쏠리는 상황에서 ‘창업공신’으로 꼽히는 인사들은 향후 인사에 대해 입을 굳게 다문 채 낮은 자세를 유지하고 있다.

새누리당으로의 정권교체가 이뤄졌던 5년 전 인사를 놓고 불거진 시행착오를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한 핵심관계자는 26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5년 전에는 전형적 논공행상 인사가 있었던 것 아니냐”며 “이는 결국 내부 권력투쟁, 국민 실망으로 이어진 만큼 이번에는 그렇게 가선 안된다”고 말했다.

무엇보다 대선 캠프에 깊숙이 참여한 현역 의원들의 경우 운신의 폭이 좁은 상태다.

이들이 인수위를 비롯해 새 정부에 대거 참여할 경우 ‘국회의원 기득권 포기’를 요구하는 국민 여론과 정면 충돌하는 동시에 전리품 나누기식 인사 논란에도 직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김무성 총괄선대본부장에 이어 이학재 후보 비서실장이 새 정부에서 어떤 임명직도 맡지 않겠다고 선언한 점도 이를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당장 강경 보수인사로 꼽히는 윤창중 당선인 수석대변인 임명을 놓고 야당이 격하게 반발하는 상황에서 ‘측근ㆍ코드 인사’가 줄을 이을 경우 박 당선인의 국정 수행에 적잖은 부담이 예상된다.

박 당선인이 대선 직후 첫 국정키워드로 ‘대탕평책’을 제시한 점도 이번 선거가 전례없이 팽팽한 접전 속에 치러지면서 극심한 후유증을 내포하고 있음을 감안한 것으로 해석된다.

서병수 사무총장은 “친박이라고 하는 사람들이 무엇인가를 바라고 (대선 승리를 위해 역할을) 한 바 없다”며 “대선에서 승리한 것으로 일단 소임은 끝난 것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권영진 전략조정단장은 “정권을 만드는데 도움이 되는 사람과 정권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사람은 다르다”며 “대통합ㆍ민생 정부에 적합한 인물을 중심으로 백지상태에서 인사하는 게 옳다”고 말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친박’이라는 이유로 요직 인선에서 원천 배제되는 게 바람직하지 않다는 지적도 있다.

잇단 인사를 단행해야 하는 박 당선인에게 ‘프리핸드’를 주는 차원에서 자세를 낮추는 것은 옳지만, 대대적으로 ‘임명직 포기’를 선언해 박 당선인의 인재풀을 좁히는 것도 맞지 않다는 것이다.

박 당선인이 ‘전문성’을 강조한 점은 역으로 ‘친박ㆍ측근이라도 능력이 있으면 쓰겠다’는 뜻으로도 읽히는 대목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서청원 전 대표, 김태환 중앙위의장, 이병기 여의도연구소 고문, 공보단에서 핵심 역할을 수행한 백기승 공보위원 등 주요 친박 인사들의 중용 가능성도 점쳐진다.

또한 국민대통합 차원에서 영입이 이뤄진 한화갑ㆍ한광옥 전 민주당 대표 역시 대탕평을 내걸고 박 당선인이 쓸 수 있는 카드로 꼽힌다.

◇ 5년전 새정권 첫 인선은 = 박 당선인의 첫 인선에 관심이 모아지는 것은 5년 전 대선 승리 이후 불거진 인선 논란과 무관치 않다.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 시절 실세였던 이상득 전 의원, 정두언 의원 등을 중심으로 각각의 인선 보고서가 당선인에게 제출됐고, 여기서의 의견 충돌이 권력투쟁으로 비화됐다는 게 대체적 분석이다.

실제 정두언 의원은 이명박정권 출범 직후 ‘권력 사유화’ 논쟁에 불을 지폈고 그 이후 여권 분열은 가속화됐다.

급기야 논공행상식 인선은 ‘고소영’(고려대ㆍ소망교회ㆍ영남출신), ‘강부자’(강남 땅부자) 인사 논란으로 이어졌다.

또한 2008년 총선을 앞둔 상황에서 당시 한나라당 주류를 중심으로 한 공천이 이뤄지면서 ‘친박계 공천 학살’이라는 말이 나오면서 당내 친이(친이명박)ㆍ친박 갈등이 재점화되기에 이르렸다.

한 핵심관계자는 “박 당선인으로서는 5년 전 인사실패를 반면교사로 삼지 않겠느냐”며 “겨우 한달반 정도 가동되는 대통령직 인수위에 핵심 측근들을 넣을 경우 득보다 실이 많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