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병규 전문기자의 골프는 과학이다] ⑫ ‘손잡이를 쥐는 행위’로서의 그립

[최병규 전문기자의 골프는 과학이다] ⑫ ‘손잡이를 쥐는 행위’로서의 그립

최병규 기자
입력 2015-06-16 23:50
수정 2015-06-17 01: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그립 최대한 견고하게 쥐어야 좋은 스윙 나와

그립 이야기 두 번째다. 이번에는 골프채 손잡이 그립이 아니라 ‘손잡이를 쥐는 행위’로서의 그립이다.


그립은 스윙의 첫 단계다. 흔히 “제대로 그립하는 데만 3년이 걸린다”고 하지만 그 3년 이후에도 그립(손잡이)을 어떻게 잡아야 하는지는 두고두고 골칫거리다. 강약 조절이 고민의 주범(?)이다.

스윙 교과서에 그립의 강도는 여러 가지로 표현된다. ‘날달걀을 잡듯이’나 ‘병아리를 감싸듯이’ 등이 전통적인 가르침이다. 3년 전 국내의 한 필드에서 만난 최경주 프로는 “그립은 가능한 한 견고하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백스윙을 시작할 때부터 임팩트, 그리고 폴로 스윙하는 동안 동일한 힘으로 골프채를 가볍게 잡는다면 몸의 회전과 근력에서 나오는 힘이 절대로 골프채 헤드에 전달될 수 없다”고 설명했다.

그립을 부드럽게 하라는 건 헤드의 무게를 느끼라는 이야기다. 그립을 꽉 쥘수록 두 팔과 어깨의 근육이 굳어져 유연한 스윙을 방해한다. 그러면 최경주는 왜 단단히 잡으라고 했을까. 그가 말한 견고함과 단단함이라는 건 그립(손잡이)과 두 손 사이에 공간이 없도록 하라는 것이지, 무조건 세게 꽉 쥐라는 뜻이 아니다. 최경주는 “쉽지는 않지만 어깨의 힘을 빼 두 팔을 유연하게 하고 그립은 가능한 한 단단히 하라”고 말한다.

1990년대 이후 프로골프 투어에서는 곧은 샷보다는 거리가 중요해졌다. 왼손 손등이 2~3개 보일 정도로 손잡이를 잡고 두 손을 오른쪽으로 돌려 잡는 ‘스트롱 그립’이 대세가 됐다. 스윙 스피드를 높이기 위해 클럽 헤드를 최대한 빨리 움직여야 하고, 그 가속을 버틸 만큼 그립도 강하게 하는 게 중요해졌다. 장타자인 로리 매킬로이나 타이거 우즈를 포함, 현재 미국프로골프(PGA) 투어에서 뛰는 10명 중 8명은 스트롱그립을 한다.

또, 과거에는 왼손으로 그립을 하고 오른손은 그 위에 가볍게 올려놓기만 하면 된다고 봤다. 임팩트도 왼손만으로 해야 한다고 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왼손과 오른손 힘의 비율은 50대50이 대세다. 왼손의 역할은 방향, 오른손은 힘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두 손에 똑같은 힘이 배분될 때 정확하고 멀리 칠 수 있다는 논리다.

하지만 그립의 강도는 골퍼 개개인의 스윙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만약 원심력을 이용한 부드러운 스윙을 하는 골퍼라면 그립을 되도록 가볍게, 반대로 때리는 스윙을 하는 골퍼라면 상대적으로 세게 잡는 것이 좋다.

cbk91065@seoul.co.kr
2015-06-17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