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녀를 만난 건 일본 나리타 공항에서다. 사실 이름도 모른다. 거리두기를 하고 마스크까지 단단히 썼기 때문이라는 건 핑계다. 외국인을 만나면 울렁거리는 가슴에 말을 붙일 생각조차 못했다. 가방에 ‘에스토니아’가 적혀 있어 그곳에서 왔을 것으로 짐작할 뿐이다.
그녀를 만난 곳은 구체적으로 온라인 체크인 건강관리 앱인 오차(OCHA)를 통해 QR코드를 받지 못한 사람들이 별도 대기하는 공간, 이른바 ‘노 오차 존(Zone)’이다.
도쿄올림픽 조직위원회는 코로나19 방역을 위해 체류 기간 활동 계획을 미리 내라고 요구했다. 물론 한 달도 훨씬 전에 제출했다. 조직위 확인도 받았다. 그런데 일본 정부의 승인이 감감무소식이었다. 수정·보완 여부를 묻는 메일에 ‘기다려달라’는 답만 반복됐다. 결국 ‘노 오차 존’에서 인내심을 시험하는 신세가 됐다. 선수라고 예외는 아니었다. 같은 항공편으로 입국한 한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 1명도 거쳐갔다.
구두 승인해준다는 데 역시 소식이 없었다. 치밀어 오르는 부아를 그나마 누를 수 있었던 건 무릎을 꿇다시피 자세를 낮추는 일본 직원의 과한 친철함이 아니라 수심 가득한 얼굴로 한숨을 쉬던 그녀 때문이었다. 그녀는 대기 1번이었다. 오전부터 기다리고 있다고 했다. 현지 지원을 나온 대한항공 직원의 귀띔이다. 늦은 오후 그녀가 먼저 일어섰을 때 박수를 쳐주고 싶었다.
가장 마지막에 ‘노 오차 존’을 탈출할 수 있었다. 사후 승인 때까지 최대 14일 숙소 격리가 조건이었다. 여기에 타액으로 PCR 검사를 받고 결과가 나오기까지 1시간이 더 보태졌다. 천덕꾸러기마냥 외로이 남겨져 있던 짐꾸러미를 찾아 공항을 나선 건 착륙한 지 5시간을 넘긴 오후 6시 20분 무렵이었다.
도쿄 시티 에어 터미널로 이동하기 위한 대기 장소에서 그녀를 다시 만났다. 같은 ‘노 오차 족(族)’이라 반가움이 앞섰다. 너무나 환한 표정이라 몰라볼 뻔했다. 새로 생긴 동행에 털어놓는 무용담이 버스까지 이어진다. 터미널에서 각자 숙소로 가기 위해 지정 택시를 기다리던 그녀가 나직이 혼잣말을 내뱉었다.“롱 데이, 롱 트립.” 그래, 정말 기나긴 하루였다.
그녀를 만난 곳은 구체적으로 온라인 체크인 건강관리 앱인 오차(OCHA)를 통해 QR코드를 받지 못한 사람들이 별도 대기하는 공간, 이른바 ‘노 오차 존(Zone)’이다.
도쿄올림픽 조직위원회는 코로나19 방역을 위해 체류 기간 활동 계획을 미리 내라고 요구했다. 물론 한 달도 훨씬 전에 제출했다. 조직위 확인도 받았다. 그런데 일본 정부의 승인이 감감무소식이었다. 수정·보완 여부를 묻는 메일에 ‘기다려달라’는 답만 반복됐다. 결국 ‘노 오차 존’에서 인내심을 시험하는 신세가 됐다. 선수라고 예외는 아니었다. 같은 항공편으로 입국한 한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 1명도 거쳐갔다.
구두 승인해준다는 데 역시 소식이 없었다. 치밀어 오르는 부아를 그나마 누를 수 있었던 건 무릎을 꿇다시피 자세를 낮추는 일본 직원의 과한 친철함이 아니라 수심 가득한 얼굴로 한숨을 쉬던 그녀 때문이었다. 그녀는 대기 1번이었다. 오전부터 기다리고 있다고 했다. 현지 지원을 나온 대한항공 직원의 귀띔이다. 늦은 오후 그녀가 먼저 일어섰을 때 박수를 쳐주고 싶었다.
가장 마지막에 ‘노 오차 존’을 탈출할 수 있었다. 사후 승인 때까지 최대 14일 숙소 격리가 조건이었다. 여기에 타액으로 PCR 검사를 받고 결과가 나오기까지 1시간이 더 보태졌다. 천덕꾸러기마냥 외로이 남겨져 있던 짐꾸러미를 찾아 공항을 나선 건 착륙한 지 5시간을 넘긴 오후 6시 20분 무렵이었다.
도쿄 시티 에어 터미널로 이동하기 위한 대기 장소에서 그녀를 다시 만났다. 같은 ‘노 오차 족(族)’이라 반가움이 앞섰다. 너무나 환한 표정이라 몰라볼 뻔했다. 새로 생긴 동행에 털어놓는 무용담이 버스까지 이어진다. 터미널에서 각자 숙소로 가기 위해 지정 택시를 기다리던 그녀가 나직이 혼잣말을 내뱉었다.“롱 데이, 롱 트립.” 그래, 정말 기나긴 하루였다.
2021-07-22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