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제의 귀환’ 안현수 또 3관왕 재현하나

‘황제의 귀환’ 안현수 또 3관왕 재현하나

입력 2014-02-15 00:00
업데이트 2014-02-16 10: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러시아 쇼트트랙 대표팀의 안현수(러시아명 빅토르 안)이 15일 러시아 소치 해안클러스터의 아이스버그 스케이팅 팰리스에서 열린 2014 소치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1,000m 결승에서 금메달을 차지한 뒤 두 팔을 들고 기뻐하고 있다. 연합뉴스
러시아 쇼트트랙 대표팀의 안현수(러시아명 빅토르 안)이 15일 러시아 소치 해안클러스터의 아이스버그 스케이팅 팰리스에서 열린 2014 소치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1,000m 결승에서 금메달을 차지한 뒤 두 팔을 들고 기뻐하고 있다. 연합뉴스
러시아로 귀화한 ‘쇼트트랙 황제’ 안현수(29·러시아명 빅토르 안)가 2014 소치 동계올림픽에서 보여주는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안현수는 15일(한국시간) 러시아 소치 아이스버그 스케이팅 팰리스에서 열린 대회 쇼트트랙 남자 1,000m 결승에서 가장 먼저 결승선을 통과, 한국 대표로 출전한 2006년 토리노 동계올림픽 이후 8년 만에 다시 금메달을 수확했다.

안현수는 토리노올림픽 당시 1,000m와 1,500m, 5,000m 계주 금메달로 3관왕에 오르고 500m에서도 동메달을 차지해 쇼트트랙 역사상 유일하게 단일 올림픽에서 전 종목 시상대에 오른 선수가 됐다.

당시 안현수는 세계선수권대회 종합 5연패를 달성하는 등 전 세계를 통틀어 적수가 없는 ‘쇼트트랙 황제’로 불렸다.

그러나 당시 안현수는 21살의 힘 넘치는 젊은 선수였고, 지금은 서른을 바라보는 노장이다.

이후 부상과 소속팀의 해체 등 어려운 시기를 보낸 안현수가 결국 러시아 귀화를 선택했을 때에 많은 빙상인들이 “어느 정도 실력은 보여주겠지만 예전과 같은 영광은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한 이유도 안현수의 부상 경력과 나이에 있었다.

하지만 ‘새로운 홈’ 팬들의 열광을 등에 업은 안현수는 지금 8년 전의 영광을 재현할 기세다.

가장 먼저 열린 1,500m에서 동메달을 따낸 안현수는 이날 1,000m 시상대 꼭대기에 서면서 다관왕 등극에 시동을 걸었다.

팀 동료인 블라디미르 그리고리예프와 함께 달리며 레이스를 주도한 결승전도 인상적이었지만, 진짜 안현수의 모습을 보여준 장면은 준결승에서 나왔다.

우다징, 한톈위(이상 중국), 세멘 옐리스트라토프(러시아) 등과 함께 레이스에 나선 안현수는 치열한 신경전이 벌어지는 레이스 내내 강 건너 불구경하듯 뒤쪽에서 상황을 지켜봤다.

그러고는 마지막 한 바퀴가 남자 작은 틈을 놓치지 않고 코너의 인코스를 파고들어 단숨에 선두로 치고 나섰다.

몸싸움을 벌이고, 그러다가 넘어지기를 반복하는 거친 쇼트트랙 경기의 특성을 비웃는 듯한 우아한 역전이었다.

앞서 13일 벌어진 남자 5,000m 계주에서도 안현수는 홀로 상대 국가의 주자들을 모두 제치는 안정적인 레이스를 펼치며 팀을 결승으로 이끌었다.

남은 500m에서 안현수가 올 시즌 랭킹 1위를 달리고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계주에서 동료들이 얼마나 그의 레이스를 잘 받쳐주느냐에 따라 안현수는 8년 만에 다시 3관왕의 영광을 재현할지도 모른다.

현재 역대 올림픽에서 안현수보다 좋은 성적을 올린 선수는 왕멍(중국) 뿐이다.

왕멍은 금메달 4개와 은·동메달 1개씩을 기록했다.

금메달 4개와 동메달 2개를 기록한 안현수가 왕멍을 제치고 역대 올림픽에서 가장 성공한 쇼트트랙 선수가 되는 날이 멀지 않아보인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