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희 기자의 런던eye] 왜 우리는 메달에 목을 맬까

[김민희 기자의 런던eye] 왜 우리는 메달에 목을 맬까

입력 2012-07-30 00:00
수정 2012-07-30 00: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28일 오전. 런던 그린파크역 입구에서 나는 손톱을 물어뜯으며 휴대전화를 들여다보고 있었다. ‘천하의 박태환이니 자유형 400m 예선은 당연히 통과하겠지.’란 생각으로 사이클 도로 경기를 보러 가는 중이었다. ‘DSQ’(실격)란 글자와 함께 박태환의 멍한 얼굴을 보는 순간, 마음속이 활활 타는 지옥으로 들어가는 듯했다. 이날을 위해 박태환이 얼마나 많은 땀을 흘렸는지를 지켜봤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보다 사람들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한 박태환의 압박감이 얼마나 클지를 떠올렸기 때문이다. 5000만 국민이 ‘박태환은 당연히 금메달’이라고 생각해 왔는데 실격이라니. 내가 박태환이었다면 정말 고국에 돌아가고 싶지 않았을지 모른다.

잔뜩 일그러진 얼굴로 화면을 끄고 고개를 들었다. 순간 뭔가에 얻어맞은 듯했다. 마음속은 지옥인데 눈앞에는 천국이 있었다. 바로 옆에서 열리는 경기를 즐기며 사람들이 샌드위치를 나눠 먹고 맥주를 마셨다. 아이들은 까르르거리며 풀밭에서 뛰어놀았다. 우리에게 올림픽의 의미가 금메달 개수라면, 그들에겐 함께 모여 노는 한바탕 파티였다.

같은 올림픽인데 어쩌면 이렇게 다를까. 큰 문화충격이었다. 도대체 우리가 메달 개수에 집착하는 이유는 뭘까. 공원을 걸으며 나는 곰곰이 생각했다. 금메달이 국위선양이라는 ‘1988년식’ 사고방식을 아직 버리지 못한 걸까. 아니면 어딜 가든 1등부터 꼴등까지 등수를 매겨야 속이 시원한 무한경쟁 문화가 반영된 걸까.

4년마다 반복되는 금메달 논쟁에 가담하고 싶은 생각은 없다. 현상에 대해 옳다 그르다, 혹은 좋다 나쁘다 판단을 하는 것은 내 몫이 아니다. 다만 나는 생각한다. 죽자고 금메달에 달려들면 우리에게 뭐가 남을까. 한껏 높아진 한국의 위상? 한민족의 자부심? 선수들에게 돌아가는 돈과 명예? 한참을 생각해 봤는데도 아직 답을 찾지 못했다. 상위 1%만 바라본다는 것은 나머지 99%를 시야에서 놓친다는 뜻이기도 하다. 그 99% 안에 얼마나 구구절절 재미있는 사연과 서로를 토닥이며 느끼는 행복이 남아 있는지, 1%만 바라보면 절대로 알 도리가 없다. 올림픽도 마찬가지다. 선수들이 최선을 다했고 그 결과가 금메달이라면 함께 기뻐해 줄 일이다. 설사 그게 아니라 해도 어떤가.

그는 최선을 다했고, 우리는 그를 인정해 줬고, 그렇게 함께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게 인생 아닐까. 자유형 400m 경기를 마친 뒤 “지금 저한테는 은메달도 값지잖아요. 올림픽이란 큰 대회에서 은메달 따기도 힘들잖아요.”라며 힘겹게 말을 잇던 박태환을 지켜보며 나는 다시 한 번 그린파크의 풍경을 떠올렸다.

haru@seoul.co.kr

2012-07-30 28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금투세 유예 vs 폐지
더불어민주당이 내년 1월 시행 예정인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 도입 여부 결정을 지도부에 위임해 국민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국민의힘은 금투세 폐지를 당론으로 정했고, 민주당 내부에서는 유예와 폐지에 대한 의견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유예와 폐지, 두 가지 선택이 있다면 당신의 생각은?
유예해야 한다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