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보호구역 10km 앞까지 외래침입종들 접근...결국 ‘인간’이 문제
외래침입종이 자연보호구역까지 위협
아메리카 밍크는 전염병을 옮길 뿐만 아니라 고유종을 멸종시키는 대표적인 외래침입종이다. 연구팀에 따르면 1251개 전세계 보호구역 인근에서 발견된 것으로 확인됐다.
영국 런던대(UCL) 제공
중국 과학원 동물학연구소, 중국과학원대, 안후이대 물리과학·정보기술연구소, 남중국사범대 생명과학부, 영국 런던대 유전·진화·환경학과, 런던동물학회 동물학연구소 공동연구팀은 전 세계적으로 보호구역 내 침입하는 외래생물종들이 점점 늘어나면서 해당 지역에서만 존재하는 고유종들의 생존에 위협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기초과학 및 공학분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9일자에 실렸다.
외래침입종은 기후변화와 함께 생물다양성을 줄이는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받고 있다. 더군다나 기후변화와 외래침입종 증가는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붉은 귀거북도 생태교란종
붉은귀거북은 원래 미국 남동부가 서식지였지만 최근에는 전 세계 곳곳에 여러 이유로 퍼지면서 고유생태종을 밀어내고 있는 생태교란종으로 지목받고 있다. 국내에서도 수입금지종으로 지정된 상태이다.
영국 런던대(UCL) 제공
연구팀은 또 자연보호구역, 국립공원, 천연기념물 보호구역 등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이 지정한 전 세계 19만 9957곳의 경계와 근방에서 이들 동물종의 분포를 분석했다.
분석에 따르면 조사대상 외래종이 보호구역 내에서는 10% 미만으로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돼 보호구역들이 외래침입종을 막는데 효과적이라는 점이 밝혀졌다. 그렇지만 보호구역 경계에서 10㎞ 이내에 89%의 외래침입종이 거주하고 있었으며 100㎞ 이내에서는 외래침입종의 99%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외래종 95%는 이미 환경적으로 적응을 마친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보호구역 내로 침투하는 것은 시간문제라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또 보호구역으로 사람들의 왕래나 방문이 잦을 수록 외래생물종의 종류와 숫자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보호구역이 최근에 지정되고 규모가 클수록 외래종이 더 많은 것으로도 조사됐다.
꿩도 유해야생동물이자 외래침입종
꿩도 4822개 자연생태보호구역 인근에서 발견된 외래침입종이다. 국내에서도 꿩은 유해야생동물로 지정돼 있다.
영국 런던대(UCL) 제공
팀 블랙번 영국 런던대 교수(동물생태학)는 “사람들이 환경을 직접 파괴하는 것만큼 자연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해로운 방법은 한 지역에 자연적으로 발생하지 않는 생물종이 인간의 활동으로 옮겨지는 것”라며 “외래침입종은 토착종들을 죽이거나 경쟁하면서 서식지를 파괴하면서 생태환경을 철저히 파괴한다”라고 말했다.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