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40명 중 1명… 표본 부족 등 조사 한계
“결국 사회적 거리두기가 최선의 방역”
전문가들은 수도권 확산 이전인 6~7월 조사인 데다 표본 수가 부족하다는 점에서 대표성을 띠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14일 이 같은 항체가 추가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환자 대부분은 감염으로부터 2~3주 뒤 면역력을 가진 항체를 갖는다. 항체가 조사는 항체를 통해 자신도 모르게 코로나19를 앓았던 ‘숨은 감염자’를 포함해 실제 환자가 얼마나 발생했는지 알 수 있다. 앞서 1차 항체 조사(3055명 대상)에서도 검체 1건에서만 양성반응이 나타나 항체 형성률은 0.03%에 그쳤다.
1, 2차 조사 모두 항체 형성률이 0.1%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점을 보면 국내에 숨은 감염자가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 방대본은 국민들의 자발적인 사회적 거리두기 참여와 생활방역의 결과로 보고 있다. 이와 함께 세계보건기구(WHO)는 집단면역을 이루려면 전체 인구의 50~60%가 코로나19 항체를 보유해야 한다고 말하는데, 집단면역을 코로나19 방역 전략으로 고려할 상황은 아닌 셈이다.
김우주 고려대 감염내과 교수는 “조사 기간인 6~7월 기준으로 봐도 환자가 1만명이 넘는 상황이었는데 표본 1440건으로 (조사 결과가 대표성을 띠기에는)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정부도 한계를 인정했다. 정은경 방대본부장은 “1500명 정도 조사했기 때문에 잠복 감염, 무증상 감염 규모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고 (시기적으로도) 현재 수도권 유행 상황을 반영하기에 제한적”이라고 밝혔다.
산술적으로만 보면 항체 형성률 0.07%를 우리나라 전체 국민 5000만명에 대입해 볼 때 약 3만 5000명이 감염됐다고 추정할 수 있다. 이날 0시 기준 누적 환자 2만 2285명과 비교하면 숨은 감염자가 1만 3000명에 달한다고 예측할 수 있지만 이 또한 불분명하다.
방역당국은 앞으로 대구·경산 지역 3300명과 군 입소 장병 1만명, 지역 대표 표본집단 1만명의 항체 조사도 실시할 예정이다.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2020-09-15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