덥고 습한 여름 주의해야할 피부질환
이제 막 돌이 지난 아이를 키우는 엄마 이모(29)씨는 올여름 아이에게 땀띠가 생기는 바람에 함께 고생했다. 겨드랑이와 목 부위에 붉은 발진이 생겨 아이가 긁어대는 통에 한시도 눈을 뗄 수가 없었다. 아이의 몸 이곳저곳에는 작은 손톱자국이 생겼다. 덥고 습한 여름철은 여느 계절보다 피부병이 발생하기 쉽다. 이중 땀띠는 0~2세 영아에게서 잘 발생해 가족이 모두 밤을 지새우는 일이 많다.땀띠는 땀관이나 땀구멍의 일부가 막혀 땀이 배출되지 못하고 축적돼 생기는 발진이다.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잘 생긴다. 매년 7~8월에 전체 환자(3만 9040명)의 50% 이상이 몰리며 73.2%가 10세 미만 환자다. 건강보험공단이 2011년 땀띠로 병원을 찾은 환자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10세 미만 환자 2만 8575명 중 77.1%인 2만 2027명이 0~2세 영아 환자였다. 전체 환자 수로 따져도 영아 환자는 절반을 훌쩍 넘는다.
땀띠는 피부의 어느 부위에서 땀관이 막혔는지에 따라 수정 땀띠, 적색 땀띠, 깊은 땀띠로 나뉜다. 표피의 표면(각질층 하부)에서 땀관이 막히면 수정 땀띠, 더 밑의 표피부위에서 땀관이 막혀 표피 내에 물집이 생기면 적색 땀띠, 표피와 진피 경계부에서 땀관이 손상돼 진피 내에 물집이 발생하면 깊은 땀띠라고 부른다.
수정 땀띠는 작고 맑은 물집 모양이고 자각증상이 없으며 대부분 그냥 내버려둬도 낫는다. 하지만 적색 땀띠는 붉은 발진 모양이고 가렵거나 따갑다. 주로 목, 사타구니, 겨드랑이에 생기며 얼굴에도 생길 수 있다. 가렵다고 무턱대고 긁다 보면 2차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 깊은 땀띠는 장기간 재발성 적색 땀띠를 앓는 경우 발생하고 가렵지는 않다.
땀띠 치료의 기본은 환자를 시원한 환경에 두는 것이다. 에어컨이나 선풍기를 이용해 땀을 빨리 증발시키고, 땀을 흘리고 나서는 목욕을 자주 해야 한다. 환자가 아이라면 옷을 두껍게 입히거나 반대로 벗겨놓지 말고 통풍성이 좋은 옷을 자주 갈아 입혀줘야 한다. 기저귀 발진이 생기면 약을 바르고 통풍이 잘 되도록 한다.
성인은 지루성 피부염을 조심해야 한다. 얼굴이나 두피 등 유분이 많은 피부에 인설(피부에서 하얗게 떨어지는 살가죽의 부스러기)이나 비듬이 반복적으로 생기고, 증상이 심하면 진물이 흐르거나 두꺼운 딱지가 앉기도 한다. 얼굴에서도 특히 미간, 코 주변, 눈썹, 이마, 귓속 등에 잘 생긴다.
지루성 피부염은 완치가 어렵다. 두피에 생겼다면 항진균제 등이 포함된 샴푸와 보통 샴푸를 번갈아 사용해 매일 머리를 감고, 얼굴에 생겼다면 세척력이 강한 비누 사용을 피하며 알코올 성분이 적은 저자극성 크림을 자주 사용하는 게 좋다. 이미우 서울아산병원 피부과 교수는 “음주, 사우나, 스트레스, 불면 등에 의해 지루성 피부염이 악화될 수 있어 기본적으로 이런 생활습관부터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땀을 많이 흘리는 젊은 사람에게선 어루러기라는 피부 질환이 잘 발생한다. 말라세지아라는 효모균에 감염돼 생기는 곰팡이 피부질환의 일종이다. 가슴이나 등, 겨드랑이, 목에 많이 생기며 연한 황토색, 황갈색, 붉은색을 띠는 각질과 버짐이 나타난다.
여름철 곰팡이 질환에 대처하려면 눅눅해진 집안부터 청소해야 한다. 곰팡이는 덥고 습한 환경에서 활발하게 증식한다. 유박린 강동경희대병원 피부과 교수는 “집안의 카펫이나 침구류가 눅눅하지 않도록 자주 햇볕에 말리거나 삶는 등 집 안 청소에 신경을 쓰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5-08-17 24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