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정말 변이 안 됐나
잠깐 문병을 한 것만으로 메르스에 감염되고 응급실과는 거리가 있는 정형외과에서 외래 진료를 받은 환자도 바이러스에 노출됐다. 전문가들의 예상을 뛰어넘은 놀라운 감염력, 이것이 국내에 들어온 메르스 코로나 바이러스의 실체다.보건당국은 지난 6일 국내 메르스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메르스의 ‘본고장’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발견된 것과 99.55% 일치하므로 유전자 변이 가능성은 없다고 결론 내렸다. 그러나 한국의 특수한 병원 문화와 환경 등을 고려해도 바이러스가 이토록 강한 감염력을 갖는 이유를 설명하기에는 충분치 않아 여전히 의구심이 남는다.
지난 6일 보건당국의 메르스 관련 브리핑에서 바이러스 변이 검사 결과를 발표했던 송대섭 고려대 약대 교수도 “바이러스가 확산하는 과정에서 원칙적으로 변이 가능성은 있다”고 말해 여지를 남겼다. 바이러스 변이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채취한 바이러스는 2번째 환자(63)의 것이다. 확산 과정에서 변이가 일어났을 가능성까지 확인하려면 3차 감염된 환자의 바이러스를 채취해 재검사를 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바이러스 변이 검사에서 유전자 염기서열이 일치하지 않았던 0.45%에 주목한다. 설대우 중앙대 약학과 교수는 11일 “99.55%를 근거로 변이가 일어나지 않았다고 단정 지을 수 없다”며 “0.45%라도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다면 어느 부분에서 불일치가 일어났는지, 이 차이가 어떤 기능을 하는지 증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익중 동국대 미생물학과 교수도 “바이러스가 전혀 변하지 않았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면서 “한 번의 검사 결과를 갖고 국내에 들어온 바이러스의 감염력이 사우디와 같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따라서 한국에서 발생한 환자를 대상으로 메르스 바이러스의 감염력 정도부터 면밀하게 분석해야 한다고 김 교수는 강조했다.
2m 이내 비말, 1시간 이상 밀접 접촉을 해야 바이러스에 감염된다는 공식은 이미 깨져버렸다. 전문가들도 어리둥절할 정도로 다양한 감염 양상이 한국에서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보건당국은 어느 정도 시간 내에, 어느 정도 거리에서 바이러스에 노출돼야 감염되는지 제대로 파악조차 못하고 있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015-06-12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