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감염학회 “검역강화해 에볼라유입 차단 힘써야”

의협·감염학회 “검역강화해 에볼라유입 차단 힘써야”

입력 2014-08-06 00:00
수정 2014-08-06 13: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차 감염자 대부분 환자 가족·의료진…국내유입 가능성 낮아”

최근 서아프리카 지역을 중심으로 치사율이 높은 에볼라 바이러스가 확산하는 가운데 전문가 단체들이 6일 검역 체계를 보다 강화해 에볼라 바이러스 유입 차단에 힘써야한다고 정부에 촉구했다.

이미지 확대
에볼라 관련 의사협회 긴급 브리핑
에볼라 관련 의사협회 긴급 브리핑 6일 오전 서울 용산구 이촌동 대한의사협회에서 열린 ’에볼라 출혈열 관련 대한의사협회 긴급 브리핑’에서 김우주 대한감염학회 이사장(오른쪽)이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한의사협회와 대한감염학회는 이날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열린 에볼라 출혈열 관련 브리핑을 통해 “에볼라 바이러스가 국내 유입될 가능성은 작고 검역관리 시스템도 효과적으로 운용되고 있지만 정부 차원에서 바이러스 국내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보다 철저한 방역대책을 수립해달라”고 주문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에볼라 출혈열은 지난 2월 본격적으로 감염자가 발생하기 시작해 지난 1일 기준으로 기니, 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 나이지리아 등 4개국에서 1천603명이 에볼라 바이러스에 감염되고 887명이 사망했다.

일단 전문가들은 이번 에볼라 바이러스 유행이 역대 가장 큰 규모고 대도시에서도 발생하고 있어 다른 국가로 에볼라 출혈열 환자가 유입될 가능성이 있지만, 국내로 바이러스가 유입될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전망했다.

대한감염학회 이사장인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김우주 교수는 “서아프리카에서 발생한 에볼라 출혈열 2차 감염자는 주로 환자와 밀접한 접촉을 하는 가족이나 의료진”이라며 “또 증상이 없는 잠복기에는 바이러스 감염 전파가 이뤄지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에볼라 바이러스가 국내에 유입되는 산발적인 케이스가 발생할 수도 있겠지만 사스와 신종플루 사태를 통해 노하우를 축적한 보건당국이 효과적인 대응체계를 작동시켜 국내에서는 2차 감염이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국민이 두려워하실 필요가 없다”고 안심시켰다.

그는 또 “만약 국내에 에볼라 출혈열 환자가 발생해도 서아프리카 지역의 에볼라 출혈열 치사율이 우리나라에 그대로 적용되지는 않을 것”이라며 “에볼라 바이러스에 감염된 미국인 2명이 아직 생존해 있는 것처럼 적절한 보조치료만으로도 생존율을 높일 수 있고 우리나라 의료수준은 선진국과 큰 차이가 없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에볼라 바이러스 위험 지역에 불필요한 방문을 자제하고 이 지역에 방문하는 경우에는 감염 의심환자와 침팬지와 같은 동물과의 접촉을 피해야한다”며 “보건소가 위험 지역을 방문한 사람을 대상으로 매일 능동감시를 하지만 당사자도 발열 등 의심 증상이 있다면 숨기거나 주저하지말고 보건당국과 의료기관에 신속히 신고를 해줘야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전문가들은 에볼라바이러스의 생물안전도가 가장 고위험군인 4등급(BL4)이지만 국내에는 이를 다룰 수 있는 실험실이 완공되지 않아 이보다 한단계 등급이 낮은 질병관리본부의 BL3+ 실험실에서만 진단을 내릴 수 있다고 지적하고 정부가 감염병 확진 체계를 강화하고 치료제 개발에 보다 힘을 써야한다고 촉구했다.

추무진 의협회장은 “21세기에는 다양한 병독성과 전파력이 강한 신종감염병 출현이 더욱 빈번해지고 있다”며 “정부는 이번 에볼라출혈열 유행을 계기로 해외 유입 신종감염병에 대한 항구적이고 체계적인 대응체계를 수립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 교수도 “새로운 감염병 백신 개발에 최소 10∼15년이 걸리고 비용도 1조원 이상 든다고 한다”며 “에볼라 출혈열과 같이 제약사가 수익을 낼 수 없는 백신과 치료제는 정부가 투자하지 않으면 개발되기 힘들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