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ekly Health Issue] “낮에 수시로 깊게 잠들면 수면장애 의심해야”

[Weekly Health Issue] “낮에 수시로 깊게 잠들면 수면장애 의심해야”

입력 2011-08-01 00:00
수정 2011-08-01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기면증 증상과 사례



송주아(15)양은 여덟 살 나던 2004년 3월쯤 처음 기면증 증상을 보였다. 초등학교에 갓 들어간 그 무렵부터 주아는 주간졸림증으로 낮동안 시도 때도 없이 잠에 빠져들었다. 책을 읽다가는 물론 길을 걷다가도 마치 가라앉듯 잠에 빠져들어 가족들을 당황스럽게 했다. 그뿐이 아니었다. 그때부터 감정 기복이 심하고, 크게 웃거나 화를 낼 때면 갑자기 다리의 힘이 빠지면서 털썩 주저앉곤 했다. 의아해하며 병원을 찾은 주아에게 내려진 진단 결과는 기면증이었다.

의료진은 우선 주아의 수면 습관을 점검했다. 따로 수면마비나 입면환각 등의 증상은 보이지 않았고, 코골이나 수면무호흡 증상도 보이지 않았다. 보통 저녁 10시부터 아침 7시까지 9시간 정도 잤으며, 낮잠 자는 시간은 1∼2시간 정도였다. 그러나 야간수면 중 미세한 각성이 잦고, 낮에 시행하는 다중수면잠복기검사에서 측정된 평균 수면잠복기도 36초로, 누우면 바로 잠에 빠져드는 상태였다. 의료진은 주아에게 프로비질(1.5정)과 항우울제를 투여했다. 이후 주간졸림증이 거의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성적도 부쩍 올랐다. 처음에는 별로 반응이 없었던 탈력발작도 크게 개선됐다.

또 다른 사례. 김현규(51)씨는 2002년부터 심한 주간졸림증과 탈력발작, 밤에 자다가 자주 깨는 증상으로 병원을 찾았다가 기면증 진단을 받았다. 코골이는 있었으나 수면무호흡은 거의 없었다. 낮 수면검사 결과, 평균 수면잠복기는 2분 10초로 매우 짧았으며, 입면시 렘수면이 빈번하게 관찰됐다. 김씨는 특이하게 꿈을 꾸다가 소리를 지르거나 주변 사람에게 주먹질을 해대는 렘수면 행동장애까지 보였다. 의료진은 주간졸음증 치료를 위해 프로비질을, 탈력발작 치료를 위해 항우울제를, 렘수면장애 치료를 위해 클로나제팜을 병용 투여했다. 결과는 매우 좋아 지금은 기면증 증상을 거의 잊고 지낸다.

홍승봉 교수는 “심한 주간졸음증을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습관으로 아는 경우가 많으나 이는 명백한 수면장애”라면서 “비정상적으로 잠이 많거나 잠을 제대로 자지 못한다면 그냥 지나치지 말고 수면의학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심재억 전문기자 jeshim@seoul.co.kr
2011-08-01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