獨 환경자연보전聯 카이 프로벨 박사
“한국의 비무장지대(DMZ)는 생태 관광과 연계시켜 DMZ 그대로를 보존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獨 환경자연보전聯 카이 프로벨 박사
그는 “한국의 DMZ는 옛 동·서독 국경선 부근의 그뤼네스반트(그린벨트)와 같이 정치적, 군사적 목적으로 만들어지고 오랫동안 인간들이 사용하지 않아 지금은 다양한 생물들의 쉼터가 되었다”면서 “평화와 자연의 상징, 냉전이 남긴 유산 등 수많은 이미지들이 닮겨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독일의 그뤼네스반트는 베를린 장벽 붕괴 8년 전부터 환경자연보전연맹 등의 활동으로 경계선 땅을 매입하는 등 활동이 있었지만 비정부기구(NGO)와 자발적인 보존 활동이 없는 탓에 유지되지 못했지만 한국의 DMZ 상황은 많이 다르다고 평가했다.
프로벨 박사는 “한국의 DMZ 보존에 대한 비전은 많은 지역 기구들과 환경단체들, 연구자들, NGO 등이 지지하고 있고 심지어 DMZ에 관한 특정 연구 기관들도 따로 있는 등 독일의 경계선이 열리기 전과는 상당히 다르다”면서 “한국은 생태계와 동물들에 관한 세세한 정보들을 많이 모았고 평화광장과 같이 DMZ를 보존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이 마련돼 있어 북한 측과 대화를 잘 이끌어 나간다면 독일이 했던 것보다 생태보존을 잘할 수 있을 것이다”고 덧붙였다.
독일 그뤼네스반트에 대한 40년의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 DMZ에 대한 나름의 다양한 보존 대책도 제시했다. 특히 한강 어귀의 국가공원화를 통한 보호와 경계 방어시설의 보존 등을 당부했다.
그는 “독일의 그뤼네스반트는 시골 변두리 영향을 받았지만 한국의 DMZ는 서울이라는 큰 도시의 영향으로 한강 어귀부터 발전에 대한 압박과 기대가 커질 우려가 많아 이들 지역을 ‘그린벨트’로 지정하는 하는 것이 우선돼야 한다”면서 “한강 어귀 등을 국가 기념물로 지정해 공원처럼 보호받는 장소로 만들어야 할 것이다”고 주장했다.
한국을 세 번째 찾은 그는 “독일은 통일 몇 달 내에 베를린 장벽 등 국경지역에 있던 모든 시설을 파괴하고 그뤼네스반트를 조성했고 분단국가였다는 상징이 사라진 현재 독일 정부는 이를 후회하고 있다”면서 “한국은 DMZ에 공원을 설치한다 하더라도 현재 있는 시설들을 보전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고 당부했다.
평창 조한종 기자 bell21@seoul.co.kr
2014-10-09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