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교육청 2024년 1차 학교폭력 실태 조사 결과 발표
4~5월 24만여명 참여...도내 피해 응답률 2.0%로 집계
언어폭력 39.8% 큰 비중...도교육청 “맞춤형 대책 수립”
올해 경남에서는 ‘언어폭력’ 유형의 학교폭력이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폭력은 교실에서 쉬는 시간에 주로 발생했다.25일 경남교육청은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24년 1차 학교폭력 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경남교육청 전경. 2024.9.25. 경남교육청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09/25/SSC_20240925181603_O2.jpg)
![경남교육청 전경. 2024.9.25. 경남교육청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09/25/SSC_20240925181603.jpg)
경남교육청 전경. 2024.9.25. 경남교육청 제공
조사는 경상남도교육청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과 한국리서치에 위탁해 4월 15일~5월 14일 온라인과 휴대전화로 시행했다. 조사에는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1002개 학교 학생 24만 1341명(참여율 86.9%)이 참여했다.
조사 결과, 경남 학교급별 피해 응답률은 전국(2.1%)보다 낮은 2.0%였다.
지난 결과와 비교하면 증가했다. 연도별 피해 응답률은 2002년 0.9%, 2021년 1.1%, 2022년·2023년 각 1.7%였다.
올해 학급별로는 초등학교 4.0%, 중학교 1.5%, 고등학교 0.5% 비율로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초등학교 0.5%p, 중학교 0.4%p, 고등학교 0.2%p 증가했다.
피해 유형별로는 전체 피해 응답자 4784명 중 언어폭력을 당했다는 답변이 39.8%로 가장 높았다. 따돌림(15.2%), 신체 폭력(14.6%), 사이버 폭력(7.5%), 강제 심부름(6.5%), 성폭력(5.9%), 스토킹(5.3%), 금품 갈취(5.2%)는 뒤를 이었다.
피해 경험 장소는 교실 안(30.6%), 복도(16.7%), 운동장 등(9.5%), 사이버공간(6.4%), 공원 등(6.0%) 순으로 나타났다.
피해 경험 시간은 쉬는 시간(32.8%), 점심시간(22.2%), 학교 일과 이후(13.0%), 수업 시간(9.5%), 하교 시간(8.1%) 등 순이었다.
![경남지역 학교폭력 피해유형.](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09/25/SSC_20240925181607_O2.jpg)
![경남지역 학교폭력 피해유형.](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09/25/SSC_20240925181607.jpg)
경남지역 학교폭력 피해유형.
학교폭력 피해 후 신고 대상은 학교 선생님(37.4%), 가족(35.3%), 친구나 선후배(12.7%) 등 순으로 많았다.
학교폭력 가해 응답률은 1.0%로 지난해 1차 조사 때와 같았다. 학교급별 가해 응답률은 초등학교 2.3%, 중학교 0.7%, 고등학교 0.1%였다. 지난해와 비교해 초등학교는 0.1%p, 중학교는 0.1%p 증가했고 고등학교는 변동이 없었다.
가해 이유는 장난이나 특별한 이유 없이(31.1%), 피해 학생이 먼저 나를 괴롭혀서(26.3%), 피해 학생과 오해가 있거나 의견이 달라서(13.4%), 피해 학생 행동이 마음에 안 들어서(11.0%) 등 순으로 나타났다.
학교폭력을 목격했다는 학생 응답률은 4.9%로 전년보다 0.5%p 증가했다. 학교폭력 목격 후 주위에 알리거나 도움을 줬다는 응답은 70.7%, 향후 학교폭력 목격 때 주위에 알리겠다는 응답은 57.6%, 도움을 요청하거나 도와주겠다는 응답은 28.9%로 대부분 적극적인 도움을 주겠다고 답했다.
경남교육청은 피해 응답 결과를 면밀하게 분석하여 도교육청, 교육지원청, 단위 학교 등 주체별, 학교급별로 맞춤형 대책을 수립하여 시행할 예정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