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현장처럼 ‘협업 프로젝트’… 반도체·AI 등 인재 육성 박차

기업 현장처럼 ‘협업 프로젝트’… 반도체·AI 등 인재 육성 박차

김주연 기자
김주연 기자
입력 2023-02-27 00:43
수정 2023-02-27 00:4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미래 기술인력 요람으로 우뚝

‘반도체 한국’ 선봉

반도체학과 신설… 올해 13개 학과

2029년부턴 年 3600명 인재 배출

소재-성남 등 지역별 특성화 강화

실제 공장 비슷한 청정실 실습도


신기술 전문인력도 양성

빅데이터 분석·증강현실 등 각광

대졸자 하이테크 과정 교육 인원

올 1530명→2025년 2330명으로

로봇 분야 ‘1인 1기업 멘토’ 가동
이미지 확대
경기 광명시에 있는 도심형 캠퍼스인 한국폴리텍대 광명융합기술교육원에서 학생들이 빅데이터를 분석하고 있다.  한국폴리텍대 제공
경기 광명시에 있는 도심형 캠퍼스인 한국폴리텍대 광명융합기술교육원에서 학생들이 빅데이터를 분석하고 있다.
한국폴리텍대 제공
이수민(29)씨는 지난해 8월부터 전력용 반도체 시장 세계 2위 기업인 온세미컨덕터코리아(주)에서 일하고 있다. 4년제 공대를 다니다 중퇴한 그는 경기 안성에 있는 한국폴리텍대 반도체융합캠퍼스 반도체전기시스템과에 다시 입학해 반도체를 공부했다. 교내 반도체장비개발프로젝트 팀장을 맡은 경험도 밑거름이 됐다. 이씨는 26일 “단시간에 반도체 지식과 실무 경험을 쌓은 데다 기업 현장처럼 협업 프로젝트를 진행한 경험이 입사 후에도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이석민(29)씨도 지난해 7월 세계 최대 반도체장비업체인 ASML에 취업했다. 성남캠퍼스에서 반도체소재응용학과 하이테크 과정을 수료한 이씨는 “하이테크 과정에서 포토 공정을 최적화하는 실험을 진행한 경험 덕에 면접을 준비하거나 실무에 적응하는 데도 수월했다”고 했다.

정부가 반도체와 디지털 인재 양성에 박차를 가하는 가운데 이처럼 곧바로 현장에서 일할 수 있게 하는 실무 중심 교육에 관심을 갖는 청년들이 늘고 있다. 정부가 앞으로 10년 동안 반도체 관련 인력 15만명을 양성하기로 하면서 전국의 대학에서 반도체학과가 늘어나는 추세다. 폴리텍대는 5년간 반도체학과를 신설해 2029년부터 연간 3600명에 달하는 반도체 전문 인력을 키운다는 계획이다.

다음달 개강을 앞두고 반도체 산업에 관심을 둔 청년들의 선택지도 늘었다. 폴리텍대는 올해 대구, 성남캠퍼스에 각각 그린반도체설계과를 신설했다. 화성캠퍼스와 익산캠퍼스에는 반도체표면처리과, 자동화시스템과를 개편했다. 이에 따라 7개 캠퍼스 13개 학과에서 반도체 인력을 양성한다. 올해부터 총정원은 475명에서 615명으로 늘어난다. 2년제 학위 과정은 500명, 대졸자를 대상으로 하는 고급 기술교육훈련인 하이테크 과정 등 비학위 과정은 115명이다. 하이테크 과정을 비롯한 국비 직업훈련 과정은 기존 25명의 5.6배인 140명으로 늘어난다.

폴리텍대는 지난해 하반기 반도체학과설립추진단을 꾸려 폴리텍 반도체 인력 양성 전략을 가다듬고 있다. 폴리텍대는 내년 800명, 2025년 1500명, 2026년 2220명으로 반도체 인력 배출을 순차적으로 늘릴 예정이다. 현장 인력 수요에 맞춰 교육 수준이나 신설학과를 조정해 인력을 적재적소에 공급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반도체 기업이나 협회 관계자 등이 참여하는 자문위원단을 꾸렸다. 5년 중기 반도체 인력 양성 확대에 따라 조만간 ‘기술교육 고도화 2.0’도 발표한다.
이미지 확대
바이오 생명을 공부하는 학생들이 실무형 수업을 듣고 있는 모습. 한국폴리텍대 제공
바이오 생명을 공부하는 학생들이 실무형 수업을 듣고 있는 모습.
한국폴리텍대 제공
지역별 특성화 교육도 강화된다. 폴리텍대는 국내 최초의 반도체 특화 대학인 반도체융합캠퍼스를 주축으로 소재는 성남캠퍼스, 후공정은 아산캠퍼스, 장비 유지·보수는 청주캠퍼스로 특화해 왔다. 반도체융합캠퍼스는 삼성 반도체 평택캠퍼스와 SK하이닉스 용인 반도체 협력지구와도 가까워 산학 간 상승효과를 내고 있다. 실제 반도체 생산 공장과 비슷한 환경의 청정실에서 제조 공정을 실습할 수 있는 러닝팩토리도 강점으로 꼽힌다.

산업 트렌드가 전통 산업에서 신산업으로 옮겨 가면서 빅데이터 분석이나 바이오생명, 증강현실, 로봇 교육 과정도 인기다. 대졸 청년을 대상으로 반도체 외에 다양한 신산업·신기술 분야를 교육하는 하이테크 과정도 올해 1530명에서 2025년 2330명으로 확대된다.

국내 최초의 로봇 특성화 대학인 경북 영천 로봇캠퍼스에선 로봇 기업 전문가와 재학생을 연결하는 ‘1인 1기업 멘토 프로그램’ 등으로 학생의 실무 능력과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을 길러 주고 있다. 도심형 캠퍼스인 광명융합기술교육원에는 바이오의약시스템과·증강현실시스템과·데이터분석과, 분당융합기술교육원에는 데이터융합소프트웨어과·생명의료시스템과 등이 있다.

폴리텍대는 반도체, 바이오, 그린에너지, 인공지능(AI)·디지털, 미래모빌리티 등 5대 중점 산업을 선정하고 학과 신설·개편 작업에 돌입했다. 이에 따라 현재 31.7%인 신산업 분야 학과 비중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2024학년도에는 반도체 10개, 저탄소 10개, 인공지능융합 5개 학과가 신설된다.
2023-02-27 18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북특별자치도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가능할까?
전북도가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도전을 공식화했습니다. 전북도는 오래전부터 유치를 준비해 왔다며 자신감을 보였지만 지난해 ‘세계잼버리’ 부실운영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상황이라 유치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전북도의 올림픽 유치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가능하다
불가능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