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의 준비 시험인 6월 모의평가가 실시된 9일 오전 서울 여의도여고에서 학생들이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 2022.06.09 공동취재
● 부랴부랴 정시 늘리다가 땜질처방지난해부터 도입한 통합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이과 쏠림 현상에 기름을 부었습니다. 통합수능은 전 세계적으로 문·이과 구별이 없어지는 추세에 발맞춰 도입했습니다. 수능 국어와 수학 영역은 문·이과가 공통과목을 치르고 선택과목을 골라 치릅니다. 문과 학생은 주로 ‘확률과 통계’, 이과 학생은 ‘미적분’이나 ‘기하’ 과목을 선택합니다.
통합수능이라는 말이 무색하게 대학에서는 여전히 ‘미적분을 배우지 않고 어떻게 이과 공부를 할 수 있느냐’고 주장합니다. 그래서 대학의 이과 학과들은 확률과 통계 과목 대신 미적분이나 기하 과목의 성적을 요구합니다. 이 때문에 문과 학생은 이과 학과로의 교차지원이 거의 불가능하지만, 이과 학생들은 교차지원이 자유롭습니다.
미적분이나 기하 과목이 확률과 통계보다 공부량도 많고 어렵습니다. 그래서 수능 표준점수를 내 보면 미적분이나 기하 과목 점수가 훨씬 높습니다. 이른바 유불리 현상이 강하게 나타나다 보니 확률과 통계를 선택하면 상대적으로 피해를 보게 됩니다. 실제로 지난해 입시 결과를 살펴보니, 문과 최상위권에 속하는 경영과 경제학과를 상위 이과생이 점령했습니다.
통합수능은 원래 ‘수시강화, 정시축소’ 원칙을 기반으로 출발했습니다. 그러나 ‘조국 사건’과 ‘숙명여고 쌍둥이 자매 사건’이 터지면서 교육부는 부랴부랴 수시를 줄이고, 정시를 늘리는 쪽으로 기조를 바꿨습니다. 이 과정에서 발생할 부작용에 대해서는 그다지 큰 고민을 하지 않았습니다.
● 尹 반도체학과 지시에 쏠림 심해질 듯교육부의 안이한 땜질처방이 만든 ‘무늬만 문·이과 통합수능’이 고교 교육을 흔들고 있는데도, 교육부는 여전히 별다른 고민이 없어 보입니다. 최근 윤석열 대통령이 최근 반도체학과를 대폭 지원하라고 지시하자, 교육부가 적극적으로 나설 모양입니다. 가뜩이나 취업이 어려운 현실과 맞물리면서 이과쏠림 현상이 가속할 전망인데, 관련 대책은 전혀 없었습니다.
2022-06-22 2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