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적으로 개학이 시작된 1일 오전 서울 강동구 강빛초중이음학교에서 초등학생들이 자리에 앉아 대기하고 있다.오늘부터 유치원생과 초등학교 1~2학년, 고등학교 3학년은 매일 등교한다. 나머지 학년은 격주, 격일 등 학교별로 조정해 수도권 밀집도 3분의 1, 비수도권 3분의 2 까지 등교한다.2021. 3. 2 사진공동취재단
20일 교육부에 따르면 교육부는 초등학교 30명 이상 과밀학급에 기간제 교사 1717명을 투입했지만 이들을 학급 증설 및 분반에 활용한 비율은 14.2%에 그쳤다. 이들 기간제 교사의 85.8%는 ‘1교실 2교사제’에 협력교사로 투입됐다. 당초 교육부는 기간제교사를 투입하고 유휴공간을 활용해 분반수업을 하거나 오전·오후반을 운영하고, 여의치 않다면 협력교사로 투입해 기초학력 부진 학생을 지원하는 역할을 맡도록 했지만 정작 주요 목적이었던 분반수업은 거의 이뤄지지 않은 셈이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가 지난 12~17일 한시적 기간제교사를 채용한 초등학교 교사 680명을 설문조사한 결과 이들 학교의 대부분이 1교실 2교사제(69.71%)를 운영하고 있었고 오전·오후반 운영은 3.09%에 그쳤다. 분반수업을 하려 해도 과밀학급 학교는 교실이 부족한데다, 오전·오후반은 학부모들이 자녀의 학원 등 오후 스케줄을 조율하기 어려워 부정적이라고 교사들은 입을 모은다.
기간제교사 대부분이 투입된 1교실 2교사제에 대한 현장의 반응도 대체로 부정적이었다. 협력교사제 운용에 대해 반대한다는 응답이 700%에 달한데다 5명 중 2명 이상은 ‘매우 반대한다’(43.68%)고 응답했다. 반대의 이유는 “학급증설 없이 과밀학급 협력교사 활용은 불가하다”(48.6%), “실효성 부족(전문성 문제 및 학력격차 해소에 실질적 도움 안됨)”(29.4%), “분반수업 등으로 인해 담임교사의 부담 증가”(9.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담임교사와 협력교사가 협력수업을 진행할 경우 수업 방식에서 충돌하거나 업무 분담 등에서 갈등이 생긴다는 점 때문에 교사들이 협력교사제를 꺼리는 것으로 분석된다. 과밀학급 학교들은 대체로 서울 강남·목동 등 교육열이 높은 지역에 몰려 있는데, 이들 학교에 기초학력을 지원하기 위해 교사를 추가 배치할 필요가 있느냐는 의문도 나온다. 전국초등교사노동조합은 “과밀학급의 밀집도를 높여 방역도 놓치고 기초학력 지원이라는 본래의 취지에서도 어긋날 수 있다”면서 “인력 관리와 예산 사용 등 협력교사 업무 담당 교사들의 업무 과중으로 이어졌다는 평가도 나온다”고 지적했다. 다만 원격수업에서 학생들의 수업 참여를 돕거나 체육활동에서 보조지도를 하는 데에 기간제교사를 투입할 경우 긍정적인 평가도 나왔다고 덧붙였다.
코로나19가 장기화됨에 따라 교육계에서는 과밀학급 해소를 위해 특단의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교사 정원 감축이 학급당 학생 수 증가로 이어지지 않도록 교사 정원을 확보하고, 신도시 등 교실이 부족한 지역에 대한 시설 투자를 늘려야 한다는 것이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오는 24일까지 전국 학교의 과밀학급 실태조사를 진행하고 ‘학급당 학생 수 20명 상한’ 법제화 운동을 전개한다. 전교조는 “과밀학급은 등교일 내내 방역의 사각지대”라면서 “학급당 학생 수를 줄여야 안전한 등교수업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