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권위 떨어뜨리는 원격수업
오랜만에 나온 학교
광주지역 각급 학교가 원격수업에서 부분 등교수업으로 전환한 14일 오전 광주 광산구 선암동 한 초등학교에서 학생이 교실로 향하고 있다. 2020.9.14
연합뉴스
연합뉴스
취약층 어려움 가중… 지자체 지원 절실
주체 간 책임 나누고 교육약자 배려해야
2학기가 돼서도 준비되지 않은 원격수업은 학습의 질 저하는 물론 공교육에 대한 신뢰마저 저하시킨다는 우려가 크다. 2학기에는 나아진 원격수업을 기대하던 학부모들이 여전히 우왕좌왕하는 학교의 모습을 보며 갖게 될 실망감은 어떤 방법으로도 회복이 어렵다는 위기감이 만연해 있다.
원격수업 방식과 등교 일수 조정, 평가 횟수 등 중요하고 민감한 의사결정 대부분을 ‘학교 자율’에 맡기면서 학교와 학생, 학부모의 혼란과 갈등이 반복되고 있다. 한성준 좋은교사운동 정책위원장은 “충분한 지원과 기반 마련 없이 임시방편으로 이뤄지는 수업은 학생과 학부모, 교사 모두에게 득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한 위원장은 “교육부와 교육청은 현장과 충분히 소통하고, 학교의 선택에 책임을 분담하고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 1학기 원격수업이 장기화되면서 학생들 간 학습 격차가 커졌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특히 학교 생활을 처음 시작하는 초등학교 1학년에 대한 대책을 주문하는 목소리가 높다. 한희정 서울실천교사교육모임 회장은 “초등학교 2~6학년은 학교에서의 학습 습관이 형성돼 있지만 1학년은 학교에 대한 경험치가 없는 상태로 원격수업으로 내몰렸다”면서 “특히 지금까지 10번 남짓밖에 학교에 가지 못해 학습 습관 형성과 사회적 상호작용의 기회를 갖지 못한 수도권의 1학년 학생이 가장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 회장은 “초등학교에서는 1학년을 우선 배려해야 한다”면서 “등교 일수도 1학년을 우선으로 확보하고, 통일된 단말기를 지급해 원격수업을 뒷받침하는 방안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인천 라면 형제’ 사건에서 보듯 코로나19는 학생들 사이에서도 가장 약한 고리부터 위기로 몰아넣고 있다. 한 정책위원장은 “학습격차의 가장 큰 문제는 취약 계층의 어려움을 더욱 가중시킨다는 것”이라면서 “학교만의 노력으로 해결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섰으며 지방자치단체와 사회 공동체 차원의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천경호 실천교육교사모임 전략기획실장은 “학습격차보다 더 중요한 문제는 발달의 격차”라면서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면서 학생들의 수면습관과 식습관이 균형을 잃었다”고 말했다. 천 실장은 “학생들이 햇볕을 받지 못하고 숨이 찬 활동을 할 수 없어 호르몬의 순환이 이뤄지지 않고 우울해지기 쉬운데, 이 역시 학생들 간 격차가 발생한다”면서 “학습 격차 못지않게 학생들의 발달에 필요한 요소들을 살피고 이를 지원해 줄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20-09-24 4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