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육청, 3~4곳 시범 운영키로
일반고·자율형공립고 묶어 과목 개방해당 고교가 대학교 ‘단과 대학’ 역할
2024년까지 구마다 1곳 이상 추진
“2025년 시행 고교학점제 징검다리”
고교생들이 인근 학교를 오가며 자신이 원하는 수업을 수강하는 ‘공유캠퍼스’가 내년 서울에 들어선다. 학교 울타리를 허물어 각기 특성화된 교육과정을 공유하고 학생들이 다양한 수업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는 구상이다. 이를 통해 2025년 전면 시행 예정인 ‘고교학점제’를 준비한다는 의미도 깔렸다.
서울교육청은 ‘공유캠퍼스’를 내년 3~4개 시범 운영하는 것을 시작으로 2024년까지 자치구별로 1개 이상 확대 운영할 계획이라고 2일 밝혔다. 공유캠퍼스는 일반고와 자율형 공립고 중 인접한 고교 3~5곳을 묶어 교육과정을 개방하고 학생들이 학교를 오가며 수업을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캠퍼스 내 각 고교는 소프트웨어(SW)와 제2외국어, 사회 등 각기 다른 교과의 특성화학교로 지정돼, 개별 학교가 종합대학 내 단과대학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학생들은 자신의 학교에 개설되지 않은 과목을 다른 학교에서 수강할 수 있어 진로와 적성에 따라 자신만의 ‘맞춤형 교육과정’을 설계할 수 있다.
이미 개별 학교 내에서 개방형 선택교육과정이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한 학교 내에 다양한 선택과목을 모두 개설하기에는 교사와 교실 등의 부족으로 어려움이 있었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마련된 ‘학교 간 협력교육과정’ 역시 다양한 수업도 부족하고 주로 방과 후 또는 주말에 수업이 열린다는 한계가 있었다.
공유캠퍼스는 정규 수업시간에 운영돼 학생들의 참여가 수월해지며, 교과 수업뿐 아니라 ‘창의적 체험활동’의 비교과 활동이나 각종 프로그램도 공유된다.
서울교육청 관계자는 “독서캠프나 동아리 등 한 학교에서 운영하는 특색 있는 프로그램에 인근 학교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다”면서 “캠퍼스 내 학교가 공동으로 진로진학설명회를 개최하면 개별 학교보다 더 풍성하고 내실 있는 행사가 가능해진다”고 설명했다.
서울교육청은 인근 학교가 자율협의체를 구성해 공모하면 심사를 거쳐 이달 13일까지 운영 권역을 지정할 계획이다. 공유캠퍼스로 운영되는 학교당 평균 1억 7000만원을 지원한다. 교과특성화 과목에 전공교사를 배치할 때 학교 요구를 적극 반영하고 각종 시설 개선 사업에 우선 추천하는 등 행정적인 지원도 뒷받침한다.
조희연 서울교육감은 “공유캠퍼스는 학교 간 협력과 연대를 통해 일반고의 역량을 강화하고 고교학점제에 대비하는 징검다리의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9-12-03 12면